청년기후단체 10곳 ‘2040 청년 시나리오’ 탄소중립委 제출
2030년 60% 이상 감축 이루고 운영 중인 석탄발전 폐지도

[이투뉴스] 탄소중립위원회가 발표한 탄소중립 시나리오 3개가 기후위기의 심각성을 반영하지 못했다며 2050년이 아닌 2040년까지 온실가스 순배출량을 0으로 만드는 적극적인 방안을 채택해야 한다는 의견이 청년단체에서 나왔다.

‘기후위기 대응을 촉구하는 청년단체’ 10곳은 탄소중립위원회에 “2030년까지 2018년 대비 최소 60%의 온실가스 감축, 2040년까지 이산화탄소를 넘어 모든 인위적 온실가스 순배출량을 0으로 만드는 ‘2040 기후중립 시나리오’를 제출했다”고 밝혔다.

제안서 제출에는 기후변화청년단체 GEYK, 기후변화청년모임 BigWave, 대학생기후행동,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대학생연합환경동아리 에코로드, 성공회대 공기네트워크, 연세대학교 YEEF, 카이스트 녹색성장대학원 K-SUS 등이 참여했다.

이들은 제안서와 함께 “지금부터 2040 기후중립 시나리오 채택을 위한 시민사회 대상 연명 작업을 이어나갈 것이며, 정부와 탄소중립위원회에 정식 시나리오 채택을 지속적으로 요구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청년기후단체가 제안한 ‘2040 기후중립 시나리오’는 파리협정의 1.5℃ 제한 목표를 지키기 위해 한국에 허용된 탄소예산을 바탕으로 도출됐다. 기후중립은 파리협정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이산화탄소뿐만 아니라 모든 인위적 온실가스의 순배출 제로를 달성하고, 그 과정에서의 기후변화 적응, 생태계의 보전 및 회복탄력성 증진까지 포괄하는 개념이다.

청년단체들은 “IPCC가 제시한 탄소예산을 한국의 역사적 책임과 역량을 고려해 나누면 2030년에는 2018년 온실가스 총배출량에서 61%를 감축한 2억8700만톤 이하로 배출하고, 2040년에는 순배출량 제로를 만들어야 한다”고 설명했다. 더불어 탄소중립위에서 제안한 3가지 시나리오 모두 한국의 탄소예산을 2배 이상 초과하는 것으로 분석했다.

노건우 1.5도클럽 활동가는 “모든 나라들이 평등하게 탄소예산을 나누게 되면 우리나라 탄소예산은 4년 내 고갈될 것”이라며 “다음 세대에 짐을 떠넘기지 않으려면 2040 기후중립보다 더 급진적으로 온실가스를 줄여나가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들이 제안한 2040 기후중립 시나리오는 2030년 탈석탄 및 2035년 전환부문의 탄소중립, 2040년 산업부문 98% 감축 등 고탄소 배출원에 대한 종결시점까지 못 박고 있다. 국제에너지기구(IEA)는 지난 5월 발간한 ‘2050년 넷제로 로드맵’에서 선진국의 2030년 탈석탄이 이뤄져야 한다고 분석한 바 있다.

▲청년단체가 제안한 '2040 기후중립 시나리오'
▲청년단체가 제안한 '2040 기후중립 시나리오'

청년단체들은 “2030년까지 재생에너지 발전량 비중 50%로 확대, 산업부문의 공정 전환, 재생에너지 및 그린수소로의 에너지 전환이 필요하다”며 “아직도 지어지고 있는 신규 석탄발전 6기의 건설 중단과 함께 현재 운영되는 석탄발전소 폐쇄도 더 늦기 전에 논의가 시작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탄소중립위원회의 1∼3안에서 주요 흡수원으로 최대 9500만톤까지 산정된 탄소포집·활용·저장(CCUS)기술에 대해서도 우려를 표했다. 미래기술에 대한 과도한 의존, CCUS를 활용한 석탄발전 및 가스발전의 종결시점 연장 가능성, 경제성 미확보, 에너지 소비량의 증가 등 여러 비판요소가 있다는 것이다.

청년단체들은 “탄소중립위 시나리오가 에너지소비량 감축이 최대 2.9%에 그치는 등 수요관리에 매우 소극적인 것은 경로의존적인 수요전망에 기반했기 때문으로 과도한 CCUS 감축분이 제시될 수밖에 없었다”고 지적했다. 이어 “기후위기 대응의 시급성을 고려하면 CCUS보다 온실가스 다배출 산업의 조기 퇴출과 적극적인 수요관리가 우선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2040 기후중립 시나리오’ 작업에 참여한 청년들은 빠른 온실가스 감축과 사회 전환을 통해 지금보다 희망적인 미래를 그릴 수 있을 것이라고 입을 모았다. 당장의 기후위기 대응은 많은 사회적 비용을 수반할 수밖에 없지만 장기적으로는 회복력 있는 사회시스템 속에서 개인이 자신의 삶을 지켜나갈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강은빈 청년기후긴급행동 공동대표는 “기후위기가 가져올 피해와 비용은 결국 ‘내일의 나’가 감당할 수밖에 없다”며 “누구도 소외되는 사람이 없는 사회 전환을 통해 우리가 보다 나은 내일을 꿈꿀 수 있게 되길 소망한다”고 말했다.

채덕종 기자 yesman@e2news.com 

저작권자 © 이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