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비인증 포함 올해만 645개소 인증, 5등급이 70% 차지
국토부 “참여형 로드맵 수립해 건물부문 탄소중립 박차”

▲김유진 국토부 녹색건축과장이 건축물 에너지관리 컨퍼런스에서 '제로에너지건축 정책 방향'을 발표하고 있다.
▲김유진 국토부 녹색건축과장이 건축물 에너지관리 컨퍼런스에서 '제로에너지건축 정책 방향'을 발표하고 있다.

[이투뉴스] 우리나라가 세계에서 가장 먼저 도입한 제로에너지건축물(ZEB) 인증제도가 예비인증까지 포함해 1200건을 넘어서는 등 공공부문을 중심으로 빠르게 확산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다만 민간부문 및 기존 건축물에 대한 에너지성능 개선을 어떻게 유도할지가 관건이라는 지적이다.

한국에너지공단은 9일 킨텍스에서 열린 ‘스마트에너지시티 건축물 에너지관리 컨퍼런스’에서 2017년 제로에너지인증제도가 시행된 이후 8월말 현재까지 모두 1233개소가 제로에너지건축물 예비 및 본 인증을 받았다고 밝혔다.

연도별로는 2017년 10개소에 불과했으나 2018년 30개소, 2019년 41개소, 2020년 507개소 등으로 매년 빠르게 늘고 있다. 특히 올들어 8월까지 645개소(예비인증 610개소, 본인증 35개소)가 인증을 받는 등 작년대비 220% 증가했다.

등급별로는 ZEB 1등급이 28곳, 2등급이 27곳, 3등급이 88개소, 4등급이 242곳이며 5등급이 전체의 68.8%인 848개소로 가장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아직은 에너지효율등급 등 조건이 까다로운 고등급보다는 상대적으로 문턱이 낮은 저등급이 많은 셈이다.

강성권 에너지공단 제로에너지팀장은 “ZEB 인증이 예상보다 아주 빠르게 진척되는 등 건물에너지관리를 통한 에너지성능 개선이 점차 확산되고 있다”면 “신축의 경우 제로에 가까운 건물서 넷제로 형태로 강화하고, 기존건물은 에너지빅데이터 및 그린리모델링를 통해 제로에너지에 가까운 건축물로 향상시켜 나갈 예정”이라고 말했다.

국토교통부는 국가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신축의 경우 의무화대상을 단계적으로 확대해 건축물 에너지성능을 강화하고, 기존 건축물 에너지효율 개선을 위해서도 그린리모델링(공공부문)과 이자지원사업(민간부문) 등 정책지원을 확대하겠다는 계획을 내놨다.

김유진 국토부 녹색건축과장은 “제로에너지건축물 의무화가 너무 강한 것 아니냐는 의견도 있었지만 탄소중립이 이슈로 등장하면서 수용성이 한층 높아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고 말했다. 이어 “2050 탄소중립 실현을 위해 건축·도시·국토를 유기적으로 연계하는 참여형 로드맵을 수립해 녹색건축을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문상덕 KT estate 상무는 ‘스마트빌딩을 위한 클라우드 기반 운영체계 소개’를 통해 BEMS 구축 후 제대로 된 유지관리가 안돼 1∼2년 안에 무용지물이 되는 경우가 많다고 분석하고 "구축 의무화만이 아닌 최소 5년 이상의 ‘운영 의무화’를 도입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허경범 LG전자 BMS사업실장은 ‘BEMS 1등급 구축 사례’를 통해 국내 빌딩에 적용된 건물에너지관리시스템 구성과 기능, 절감사례를 소개했다. 그는 “BEMS 설계가 전기 및 기계설비 설계단계부터 반영될 수 있어야 하는 것은 물론 기능평가 중심에서 에너지의 효율적 사용과 절감을 평가할 수 있는 정량적 성과체계로 전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채덕종 기자 yesman@e2news.com 

저작권자 © 이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