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수소모빌리티+쇼 국제수소컨퍼런스 10일 개최
수소산업 국제동향, 모빌리티와 그린수소 과제 등 발표

[이투뉴스] 수소에너지가 친환경 에너지라는 대안적 차원을 넘어 차세대 경제 패러다임으로 인식해야 하며, 글로벌 수소경제 가치사슬이 완성되기 이전에 한국 기업의 선제적인 시장지위 확보가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수소산업 생태계 범위가 넓다는 점에서 국제협력이 불가피한 것으로 제시됐다.

수소모빌리티+쇼 조직위원회(위원장 정만기 한국자동차산업협회장)는 ‘세계 수소산업 선도국가들과 수소경제 활성화를 위한 협력강화’를 주제로 한 ‘2021수소모빌리티+쇼 국제수소컨퍼런스’를 10일 킨텍스 제2전시장 401, 402호에서 개최했다.

컨퍼런스는 개회사와 기조연설에 이어 ▶해외 수소산업 로드맵 ▶수소모빌리티 산업 발전방안을 주제로 한 오전 세션, ▶국제 그린수소 시장?정책 동향 ▶그린수소 활성화 방안을 다루는 오후 세션 등 2부로 진행됐다. 코로나19로 인해 현장에 참석하지 못한 참가자들을 위해 수소모빌리티+쇼 홈페이지에 공지된 줌 링크를 통해 생중계됐다.

정만기 수소모빌리티+쇼조직위원장은 “2015년 파리협약 이후 전 세계는 탄소중립 여정을 본격적으로 시작했다”며 “탄소중립은 한, 두 나라 노력으로는 해결될 수도 없고 제로섬이 되어서도 안 된다”며 국제협력 필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특히 수소의 경우 국제협력이 불가피하다면서 “수소산업의 밸류체인은 지리적으로 한 나라에 국한되기 쉽지 않고 수소 생산과 저장, 이동뿐만 아니라 활용분야까지 산업범위가 넓어 한 기업이나 국가의 기술 독점이 어려워 기업간 전략적 제휴나 국제협력이 불가피하다”고 밝혔다.

문승욱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한국은 2013년 세계최초 수소차 양산, 2019년 수소경제로드맵 발표, 2020년 세계 최초 수소법 제정과 함께 수소경제 컨트롤타워인 수소경제위원회를 구성해 수소 생태계 전반의 육성 정책을 마련했다”며 “2019-20년, 2년 연속으로 수소차와 수소연료전지 보급량 세계 1위라는 성과를 거뒀다”고 설명했다. 이어 “국내기업이 차세대 수소연료전지를 연간 10만기 생산할 수 있는 공장을 2023년까지 준공하고 생산규모를 현재 대비 4배 이상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문 장관은 또 “우리나라가 수소경제 선도국가로 도약하기 위해서는 생산과 저장, 운송 분야 원천기술 확보가 필요하다”며 정부도 “수소경제 실현을 위해 깨끗하고 안전한 에너지인 수소에 대한 국민의 이해도를 높이고, 민간의 투자를 견인하는데 적극적으로 나서겠다”고 말했다.

영국과 칠레가 해외 수소경제 로드맵를 발표하는 시간도 마련됐다. 조슈아 로렌스 국제통상부 자문위원은 “영국은 수소 관련 정책을 개발하기 위해 산학연 모두가 참여하는 수소자문협의체를 만들어  운영 중”이라고 밝혔다. 여기에는 세계적인 에너지·석유화학 그룹 쉘과 수전해 전문업체 ITM을 포함한 다수의 기업이 참여하고 있다.

칠레의 경우도 영국과 크게 다르지 않다. 칠레 정부는 기업과 대학, 연구소, 각 산업별 협의회가 참여하는 기술협의체를 운영하고 있다. 카밀로 아빌레스 칠레 에너지부 신생에너지사업 본부장은 “정책방향을 결정하는 로드맵과 사업모델, 산업기준, 규제, 부문별 발전계획, 연구·개발 등 수소산업의 큰 틀을 확정하려면 산·학·연의 협의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린수소 시장동향 및 활성화 방안
그린수소를 주제로 한 발표도 이어졌다. 최용호 딜로이트 상무는 “수소에너지가 친환경 에너지라는 대안적 차원을 넘어 차세대 경제 패러다임으로 인식할 필요가 있다”며 “글로벌 수소경제 가치사슬이 완성되기 전, 한국의 기업의 선제적인 시장지위 확보가 중요하다”고 역설했다.

소진명 에너지경제연구원 본부장은 ‘수전해 기술 고도화를 위한 주요국 정책 현황 및 시사점’에 대해 의견을 제시했다. 그는 “단기적으로는 탄소 포집저장 기술을 활용한 블루 수소가 경제성을 가질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수전해 장치를 활용한 재생 수소를 기반으로 경제성을 확보하는 것이 필수적”이라고 주장했다.

김창희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박사는 실질적 그린수소 기술개발에 성공한 해외 성공사례를 소개하며 국내의 수소에너지 관련 연구개발의 방향과 전략을 제시했다. 수소산업의 핵심기반을 강화하고 정부 부처 간 거버너스 시스템 구축이 반드시 수반되어야 한다는 지적이다.

채제용 기자 top27@e2news.com

저작권자 © 이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