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투뉴스] 풍력발전 REC계약가격이 하락했다는 기사가 나간 뒤 후속 취재 중 비용평가심의에 참여한 관계자에게 새로운 소식을 들었다. kWh당 137원까지 떨어졌던 계약단가가 최근 전력거래소 사업성검토 실무위원회가 열린 후 147원까지 올랐다는 이야기였다. 개정된 REC가중치를 적용하면 육상풍력사업자는 161원까지 수익을 받을 수 있다. 최소한 사업자가 프로젝트 파이낸싱(PF)를 받을 수 있는 수준이 된다.

업계는 한숨을 돌렸다는 입장이다. 비용심의위에 참여한 관계자는 “지난달 책정된 계약가격에 문제가 있다는 것을 지속적으로 이야기하면서 실무위에서 최소한 사업이 가능한 수준까지는 계약단가를 올린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고 말했다.

다만 사업기간이 긴 풍력사업의 특성상 공사 과정에서 초안과 설계가 달라지거나 공사비가 증가하는 경우가 많아 PF도 겨우 받을 수 있는 수준이라고 아쉬움을 보였다.

풍력산업 PF에 관여하고 있는 금융권 관계자도 “계약단가심의를 통해 PF가 가능한 수준까지 올라왔지만 그나마 풍황이 좋은 구역이 최소한 수익을 볼 수 있는 단가”라며 “풍황이 좋지 않은 강원도나 전라도 같은 지역은 이 정도 계약단가로는 아직 사업성이 불확실해 PF 확보가 불투명하다”고 덧붙였다.

산업통상자원부가 풍력산업 활성화를 위해 REC가중치를 상향했지만 업계는 계약단가와 정산단가가 맞지 않아 여전히 사업이 불확실하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한 기업 관계자는 “올해 초 계약단가와 비교하면 이번에 심의를 통과한 단가로 얻을 수 있는 수익은 여전히 모자르다”며 “어디까지나 지난달보다 상황이 조금이나마 나아졌다는 이야기지, 사업자들이 안심하고 풍력사업에 들어올 수 있는 수준이라 할 수 없다”고 말한다. 

좋은 소식은 산업부와 국회 모두 현행 RPS제도 문제를 인식하고, 업계와 해결방안을 논의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전력거래소와 에너지공단으로 이원화된 비용평가의 통합이 유력하며, 에너지공단도 이를 긍정적으로 검토하고 있다. 하지만 업계는 풍력산업이 제대로 수익을 확보하기 위해선 일원화를 시작으로 원별분리 등 정산단계의 불확실성을 없애고 사업자들이 안정적으로 수익을 얻을 수 있게 해야한다고 지적한다.  

문재인 대통령은 신안 해상풍력단지 조성을 위해 2030년까지 48조원 투자해 풍력산업을 미래먹거리로 성장시키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지금 같은 문제가 이어진다면 사업자들이 풍력산업에 투자하지 않을 것이며, 정부의 풍력보급 목표달성도 힘들다. 이번 계약단가 상승이 풍력산업 활성화를 위한 첫걸음이 되길 바란다.

진경남 기자 jin07@e2news.com 

저작권자 © 이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