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욱 이투뉴스 발행

[이투뉴스 사설] 세계의 공장 역할을 하는 중국의 심각한 전력난으로 글로벌 경제가 휘청거리고 있다. 보도에 따르면 중국 북부 랴오닝성에서 남부 광둥성까지 중국 본토 31개 성(省), 직할시, 자치구 가운데 10곳 이상에서 전력 부족현상이 발생해 공장 수천개소가 가동을 중단했다.

장쑤성에 있는 포스코 스테인리스강 생산라인도 가동을 멈췄으며 애플 부품 공급사인 대만 유니마이크론도 지난달 26일부터 10월까지 장쑤성 쑤저우와 쿤산에 있는 자회사 공장 가동을 중단했다. 

랴오닝성과 지린성, 헤이룽장성 등 동북 3성은 지난달 23일부터 일부 지역에 제한 송전을 실시해 아파트 주민 등이 큰 불편을 겪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전력난의 직접적인 원인은 전력소비는 매년 증가하고 있는 반면 최근 석탄가격 상승과 재고부족으로 일부 석탄화력발전소가 가동을 못하고 있기 때문. 중국내 발전용 석탄 가격은 올 초보다 50% 이상 올랐다. 전력 생산원가가 판매가를 넘어서는 바람에 발전소를 돌리면 돌릴수록 손해를 보게 되자 일부러 발전량 증가를 제한하고 있다는 것이다.

석탄가격 상승은 세계적인 원자재 가격 급등으로 값이 많이 오른 데다 중국이 외교 갈등을 겪고 있는 호주에 ‘경제보복’을 가한다면서 호주산 석탄 수입을 중단한 상태여서 중국내 석탄 부족 현상은 세계 다른 나라보다 더욱 심각한 상태.

게다가 중국은 서부 내륙지역의 풍부한 수자원을 활용해 생산한 전기를 인구가 많은 동쪽으로 보내는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는데 올해 비가 적게 내리면서 수력 발전이 평년 수준을 밑돌고 있는 것도 전력난을 가중시키고 있다.

올해 4월과 5월 중국 서남부 란창강과 진사강 상류에 비가 적게 내리면서 일부 댐의 수위가 낮아져 수력발전으로 생산한 전력의 동부지역 송전량이 절반에 불과한 것으로 전해졌다.

또한 시진핑 국가주석이 2030년까지 탄소 배출 정점을 찍은 후 2060년 이전 탄소 중립을 달성하겠다고 공언하면서 중국 발전량의 49%를 차지하는 석탄 발전에 대한 규제가 더욱 강화될 전망이어서 석탄발전은 더욱 위축될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일부 성에서는 중앙으로부터 할당받은 연중 탄소 배출 감축 목표를 지키기 위해 산업 시설 가동을 줄이는 방안으로 전기공급을 축소하고 있다.

중국 정부는 전력 다소비 지역인 동부에 원자력발전소를 계속 건설하고 있으나 급속한 경제발전에 따른 수요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

중국의 전력난이 세계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작지 않은 만큼 중국 정부는 전력난 해소를 위해 현명한 대응책을 하루라도 빨리 마련해 자국내 제조업 기반이 무너지지 않도록 총력을 기울여야 할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저작권자 © 이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