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자부, "경제성은 사업주체가 판단할 문제"

 <글 싣는 순서>

1. 풍력발전의 현주소
2. 난립하는 풍력발전 경제성은?
3. 한국의 풍력단지 건설, 이대로 괜찮은가?

 

풍력발전은 어느 곳에나 산재되어 있는 무공해, 무한정의 바람을 이용한 에너지원이다. 따라서 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거의 없고, 해양풍력발전 등을 통해 국토를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또 대규모 발전 단지의 경우에는 발전 단가도 기존의 발전 방식과 경쟁 가능한 수준이다. 최근에는 제주도 성읍면 난산리와 수산리, 전남 신안군, 강원도 왕산면 등 각지에서 건설되는 풍력발전단지뿐만 아니라 김천시가 계획 중인 추풍령풍력단지처럼 추진 또는 계획 중인 풍력발전단지가 급속도로 늘어났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해상풍력발전을 제외하고 매년 늘어가는 풍력발전단지가 과연 경제성이 있느냐는 지적이 일고 있다.

 

◆발전용량의 허수= 발전소의 규모를 말할 때 흔히 '산청양수발전소 700MW 건설', '추풍령풍력단지 200MW 건설' 등 발전설비용량으로 정의를 한다. 발전설비용량은 현재 설치되어 있는 전력 생산 설비로부터 만들어낼 수 있는 전력의 양, 즉 '최대가능생산용량'을 말한다.


따라서 1MW의 발전설비용량이면 일반 가정에서 하루 사용하는 전력량을 평균 10kW으로 봤을 때 1000가구 이상의 가정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양이 생산된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계산법에 허구가 있다.


진형찬 동국S&C 신재생에너지사업부장은 "풍력발전은 화력발전과 다르게 설치한 발전용량만큼 발전량이 나오는 것이 아니다"라고 지적했다.


진부장은 "풍력발전의 경우 효율성(가동률)은 연평균 25%정도"라며 "제주 한경풍력발전단지를 기준으로 이전에 세워진 풍력발전은 효율성이 20%선에서 그친다"고 말했다.


결국 발전용량 1MW인 풍력발전 1기의 실제 발전량은 250kW라는 것이다. 물론 원자력발전을 비롯해 상용화된 화력발전 등도 100% 가동하지는 않는다. 그러나 실제 효율성은 이보다 훨씬 높다.

 

◆입지조건의 한계= 풍력발전은 바람을 이용을 발전원으로 이용하는 만큼 풍력자원이 풍부한 곳에 설치해야 한다. 특히 풍력발전기의 특성상 일시적으로 바람이 강하기 보다는 연중 평균 이상의 풍속이 나오는 곳이어야 한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 이러한 입지조건을 충족하는 곳을 불과 몇 곳에 불과하다. 이는 지난해 산업자원부가 작성한 보고서에도 나타난다.


이 보고서에는 전국 73곳의 국내 기상청 기상대 및 관측소에서 측정한 9년동안의 자료를 이용해 연간 평균풍속, 주풍향 및 풍력에너지 밀도 등에 대한 분석 결과, 울릉도나 흑산도와 같이 풍력단지의 건설에 적합치 못한 특수지역을 제외하고 풍력자원량에서 우수한 것으로 분석된 지역은 속초·대관령·인천(경기도)·울진·여수·군산·부산·목포·제주고층 등 9곳이다. 특히 내륙지방으로 갈 수록 이러한 문제는 더욱 커진다.


단적으로 지난 2004년 추풍령 IC부근인 김천시 봉산면 광천·신암리 일대 부지 4만2000평에 대규모 풍력발전단지 조성사업이 민자로 추진됐으나 건설계획이 '사업성을 이유'로 원점으로 돌아갔다. 당시 사업을 추진했던 대우건설 관계자는 "사업타당성 조사 등 기초조사 결과 사업성이 부족하다고 판단돼 포기했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경남호 한국풍력기술개발사업단장은 "바람이 약하더라도 타워를 높이거나 날개를 크게 만들면 충분히 경제성을 갖는다"며 "오히려 경제성이 있는 지역이 백두대간이나 국립공원으로 묶여 있어 사업 추진이 어려운 현실"이라고 반박했다.


그러나 경단장의 주장에 대해 오히려 타워의 높이가 커지면 풍력발전기가 산자락에 위치한 만큼 강풍으로 인해 오히려 쓰러질 위험이 있다는 지적이다.

 

한편 산자부는 풍력발전의 경제성 문제를 놓고 사업자들을 통제할 수는 없다는 입장이다.
산자부 관계자는 "풍력발전의 경제성 여부는 산자부가 아닌 사업자 스스로 판단할 문제"며 "산자부에서 이를 통제할 수 없다"고 말했다. 그러나 그는 "최근 (육상)풍력발전단지 건설이 최근 난립한다는 생각이 든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이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