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년 새 연료비 130% 상승 불구 열요금은 요지부동
원가 10만원 짜리를 7만원에 파는 꼴 ‘적자 눈덩이’

[이투뉴스] “현재 연료비 수준을 감안할 때 지역난방 열요금 생산원가는 Gcal당 10만∼11만원 수준에 달한다. 하지만 사용자에게 7만원대 초반을 받는 만큼 팔 때마다 30%가량 손해를 보고 있다. 지금 판매량이 가장 많은 시기다. 적자가 눈덩이처럼 불어날 수밖에 없다”

전국 340만여 가구에 지역냉난방을 공급하는 집단에너지사업자의 원성이 자자하다. 연료비는 계속 치솟는데 열요금 조정을 못한 채 손해를 보면서 팔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가격불균형에도 불구 최대성수기인 겨울을 맞아 판매량까지 늘면서 적자가 눈덩이처럼 쌓이는 이중고에 시달리고 있다.

집단에너지업계에 따르면 지난해부터 글로벌 LNG가격이 꾸준히 오르면서 천연가스를 연료로 사용하는 지역난방 열생산단가 역시 급격히 치솟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지난해 1월 MJ당 9.86원이던 집단에너지용(발전용) 천연가스 도매가격이 7월 12.45원, 12월에는 20.59원까지 급격하게 오른 것이다.

발전용 LNG가격은 급기야 올 1월에 MJ당 22.80원까지 뛰어 1년 만에 131%가 상승했다. 국제 천연가스 가격 상승은 국제유가 상승과 함께 유럽의 가스수요 증가, 러시아 PNG 공급불안, 동절기에 따른 수요 증가에 따른 것으로 당분간은 현 수준을 유지할 것이란 전망이 우세하다.

이처럼 연료비가 폭등하면서 이를 반영한 지역난방 열생산원가 역시 Gcal당 8만원대에 육박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여기에 고정비까지 포함할 경우 대용량 CHP 및 소각열 등 원가구조가 뛰어난 사업자의 열요금은 10만원 초반대, 이보다 취약한 사업자의 경우 11만원도 훌쩍 뛰어넘는다는 것이 업계 내부의 분석이다.

하지만 현재 소비자로부터 받는 지역난방 열요금(기본요금 포함)은 사업자별로 7만1500원∼7만8000원 수준으로, 생산원가의 70%에도 미치지 못한다. 팔면 팔수록 손해가 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물론 지난해 열요금 정산과정에서 일부 인하요인이 남아 있었지만 이미 지난해 다 까먹고 시일이 지날수록 인상요인만 쌓이고 있다.

연료비 인상에도 불구 지역난방요금 조정을 못하는 것은 도시가스 민수용과 연동하기 때문이다. 정부가 물가인상 등을 이유로 도시가스 가정용 요금상승을 억제하면서 지역난방까지 묶였다. 문제는 도시가스사의 경우 가스공사가 완충역할을 하고 있어 아무런 손해가 없지만, 지역난방은 고스란히 사업자가 책임져야 할 몫이라는 것이다.

정부가 5월부터 10월까지 세 번에 나눠 민수용 가스요금을 MJ당 5.43원 인상하겠다고 예고했지만 이미 급등한 열생산원가를 충족시키기에는 턱없이 부족한 형편. 7월 연료비 정산을 기대해야 하나 이 역시 2021년분 연료비만 정산, 악화된 경영여건을 되돌리기에는 역부족일 것이란 전망이 우세하다.

상황이 이처럼 급박하게 돌아가자 청라에너지를 비롯한 중소규모 집단에너지사업자들은 비상경영체제에 돌입하는 등 자구책 마련에 나섰다. 단가가 높은 열을 최대한 피하고, 예산을 최대한 아끼자는 내용이다. 하지만 이러한 노력만으로는 감당할 수 있는 규모가 아니라는 것이 가장 큰 고민이다. 상대적으로 원가구조가 취약한 일부 사업자의 경우 머잖아 운영자금 조달에도 어려움을 겪을 것이라며 대책을 호소하고 있다.

집단에너지업계 관계자는 “지역난방은 한전과 가스공사가 파도를 막아주는 전기와 가스와 다르게 모든 손실이 즉각 사업자에게 온다는 것을 정부가 명확히 인지해야 한다”면서 “기준요금 산정방식은 물론 열요금 연동대상 및 조정시기까지 모든 것을 원점에서 재검토해야 할 시점”이라고 말했다.

채덕종 기자 yesman@e2news.com 

저작권자 © 이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