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연성 자원 필요량 도출 뒤 경매로 조달

[이투뉴스] 정부와 전력당국이 재생에너지 확대에 따른 전력망 안정성 확보를 위해 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2021~2036)을 수립하면서 재생에너지 변동성 증가와 관성저하에 대한 별도대책을 마련하기로 했다.

20일 발전업계에 따르면 당국은 10차 전력계획 수립작업이 본격화 되는대로 전력망워킹그룹(위원장 이병준 고려대 교수)과 신재생워킹그룹(위원장 주성관 고려대 교수)을 통해 이들 사안을 다룰 예정이다.

이를 위해 당국은 과거 발전데이터를 기반으로 재생에너지 연간 수요패턴과 이용률 등을 산출한 뒤 이를 기반으로 미래 변동성·간헐성 자원 증가에 대응한 유연성 자원 필요값을 도출할 계획이다.

앞서 산업통상자원부는 작년말 열린 10차 전력계획 총괄위 킥오프 회의에서 “재생에너지 발전비중 확대에 따른 ESS 등의 에너지저장장치 확대와 변동성 대응체계를 마련하겠다”고 했었다.  

당국은 재생에너지 출력(발전량) 변동성과 간헐성, 관성저하 등이 전력망에 미칠 영향에 주목하고 있다. 태양광·풍력자원이 늘어나면 예측 불확실성은 증대하고, 전력망 강건성 지표인 관성은 낮아질 수밖에 없어서다.  

이중 변동성과 간헐성은 양수발전 등 다양한 ESS확충과 가스터빈 단독운전, 신뢰도DR 등의 유연자원 확충으로, 관성저하는 동기조상기 및 합성관성 활용검토로 각각 대응한다는 구상이다.  

당국 한 관계자는 “재생에너지 변동성과 간헐성, 인버터 기반의 발전설비 증가에 따른 계통관성 저하 등 세가지 측면을 모두 감안해 전력계획을 수립한다는 큰 방향이 잡혀있다”면서 “아직은 필요량이 얼마정도인지 가늠해보는 단계"라고 말했다.

재생에너지 공급전망과 대응자원 필요값이 도출되면, 이를 전력시장에서 경매방식으로 조달하는 방안도 검토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관계자는 "어찌됐든 10차 계획에서 유연성 자원을 확보해야 하는데 미래 전력계통에서 요구하는 최소한의 기술사양만 주고 시장진입을 허용하되, 물량이행은 경매제도를 이용하는 쪽으로 방향을 논의하고 있다"고 말했다.

정부는 2030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 상향안과 2050탄소중립 시나리오 전력부문 이행방안을 담은 10차 전력계획을 연내 수립할 예정이다.

이상복 기자 lsb@e2news.com 

저작권자 © 이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