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유현 JC케미칼 상무, 바이오연료포럼 심포지엄서 발표
“바이오중유 시장 소멸 시 신재생에너지 정책 퇴보할 것”

▲2022년 한국바이오연료포럼 정기 심포지엄이 진행되고 있다.
▲2022년 한국바이오연료포럼 정기 심포지엄이 진행되고 있다.

[이투뉴스] 탄소중립을 위해 가동이 중단된 동서발전 기력 4~6호기를 재가동할 필요가 있다는 역설적 주장이 나와 눈길을 끈다. 간헐적인 태양광 풍력을 수용하기 위해 비교적 친환경적이고 기저부하를 감당할 수 있는 바이오중유를 활용해야 한다는 것이다.

서유현 JC케미칼 상무는 20일 서울 중구 정동1928아트센터에서 열린 ‘2022년 한국바이오연료포럼 정기 심포지엄’에서 '국내 바이오연료 산업현황 및 과제'를 주제로 이같이 발표했다.

서 상무에 의하면 바이오에너지업계는 기존 기력발전소 대체연료로 발전용 바이오중유 보급을 수년간 추진해 왔다. 신재생에너지공급의무화제도(RPS) 시행에 따라 의무공급량을 이행하기 위해 2014년부터 발전사를 중심으로 기존 기력의 벙커C유 대체연료로 바이오중유를 보급해 왔고, 2019년 바이오중유가 석유대체연료에 포함되면서 전면보급을 시작했다.

국내 바이오디젤 생산업체는 15개 이상의 업체가 난립해 등록돼 있지만 실제 공급능력 및 실적을 고려했을 때 JS케미칼, SK에코프라임, 애경케미칼, 단석산업, KG ETS 등 5개사가 현실적인 생산업체로 꼽힌다.

이들이 생산한 발전용 바이오중유의 친환경성은 실질성과를 기반으로 검증됐다는 주장이다. 바이오중유는 기존 중유 대비 황산화물 100%, 미세먼지 28%, 질소산화물 39%, 온실가스 85%를 저감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바이오중유를 100% 사용하는 중부발전 제주 기력3호기는 탈질·탈황 설비 가동을 중단한 바 있다. 환경컨설팅사 에코네트워크의 발전용 바이오중유 전주기(LCA) 연구에 의하면 바이오중유 발전은 지구온난화 지수(GWP) 영향 범주에서 기존 중유 화력발전 대비 81.6%의 비생물자원 저감 효과가 있다.

이날 서 상무는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열쇠 중 하나가 발전용 바이오중유라고 강조했다. 2030년까지 신재생에너지 비중을 20% 확대하고 2040년까지 최대 35% 확대한다는 감축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태양광 풍력만으로는 한계가 있다는 설명이다. 

태양광 풍력은 간헐성 자원으로 화력과 같은 기저부하를 대체할 수 없고 발전소 부지 확보와 최적입지 감소도 문제라고 지적했다. 또 바이오중유의 MWh당 대기오염 배출량은 0.725kg 수준이지만 중유는 2.055kg로 2.8배, 목재펠릿은 2.49kg 3.4배, 유연탄은 26.15kg 36.1배라고 주장했다. 연료별 MWh당 전기생산에 따른 대기오염물질 배출 피해비용은 바이오중유 9374원, 중유는 3만4088원, 유연탄 169만9013원으로 나타났다.

그는 발전용 바이오중유의 장점으로 ▶기존 벙커C유 발전설비를 그대로 이용할 수 있어 추가 투자가 불필요한 점 ▶바이오디젤 부산물(피치), 음폐유 활용에 따른 경제성 확보 및 수질개선 등 환경보존 효과 ▶급전지시 사용 가능 ▶발전차액지원제도와 무관해 정부의 재정적 지원 부담이 적음 ▶탈질·탈황 설비 가동을 중단할 수 있는 점 ▶중유대비 황산화물, 미세먼지, 질소산화물, 온실가스 저감이 가능한 점 등을 들었다.

바이오에너지 산업이 성장하기 위해 재활용 유지 활용을 늘려야 한다고도 제언했다. 2020년 기준 17만5400톤의 폐식용유를 재활용하는 국내 바이오에너지 산업이지만 가정에서 배출되는 폐식용유까지 포함해 100% 재활용에 도달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또 비산유국인 우리나라의 경우 에너지 안보를 위해 정부차원에서 전략적으로 유채, 해바라기, 억새 등 국내산 바이오작물 개발을 추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서유현 상무는 “발전용 바이오중유의 여러 장점에도 불구하고 중장기 전망은 불투명하다”며 “국가전력수급기본계획에 따라 점차적으로 기력발전기 폐지가 예정됐기 때문”이라고 토로했다.

바이오중유를 사용하는 동서 기력 4~6호기는 올해 1월 가동중단했고 남제주기력 1,2호기가 폐지되는 2036년 9월까지 바이오중유 시장은 서서히 소멸할 전망이다. 그는 “바이오중유의 높은 친환경성에도 수요가 줄어드는 것은 국내 신재생에너지 정책의 실질적인 퇴보를 의미한다”며 “2030년 신재생이행의무에 도달하기 위해 기존 기력발전소 폐지계획을 수정해 발전용 바이오중유 전용으로 전환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김진오 기자 kj123@e2news.com

 

저작권자 © 이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