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비용량 1.57GW서 2026년 2.9GW로 증설, 2030년 순생산시설 전환
환경부 '환경시설 활용한 바이오-수열 에너지 2배 확대 청사진' 발표

[이투뉴스] 하수처리시설 등 환경시설의 재생에너지 생산을 대폭 늘려 에너지 사용시설에서 생산시설로 거듭난다는 청사진이 나왔다. 현재 1.57GW 규모의 생산설비를 2026년 2.9GW까지 늘리는 한편 2030년에는 연간 8762GWh를 생산, 7625GWh의 에너지 사용량을 자체 소화하는 한편 1137GWh를 순공급하겠다는 야심찬 목표다.

환경부(장관 한화진)는 하수처리시설, 정수장, 댐 등 환경시설에서  바이오가스, 수상태양광, 소수력발전 등을 이용한 재생에너지 생산을 두 배 이상 확대한다는 내용을 담은 ‘바이오·물 에너지 확대 방안'을 21일 발표했다. 그동안 물관리정책실 산하에 재생에너지 임시조직을 두고 환경부 소관 환경시설의 탄소 저감 및 에너지 자립 정책을 검토한 결과를 내놓은 것이다.

환경부는 2021년 기준 연간 3264GWh에 이르는 환경시설 재생에너지 생산량을 2026년까지 5764GWh로 확대할 계획이다. 더불어 2030년까지 환경시설 재생에너지 생산량을 8762GWh로 늘려 연간 7625GWh(2021년 기준)의 에너지를 쓰는 환경시설을 1137GWh의 순에너지 생산시설로 전환할 계획이다.

현재 전국의 환경시설은 ▶음식물 등 폐자원처리를 통한 바이오가스 생산시설 110곳 ▶광역 정수장 43곳 ▶지자체 운영 정수장 473곳 ▶500톤 이상 공공 하수처리시설 678곳 ▶댐 37곳으로 모두 1341곳에 달한다.

이들 환경시설에는 모두 1.57GW의 에너지 생산설비를 갖추고 있으며, 연간 3264GWh의 재생에너지를 생산하고 있다. 하지만 이들 환경시설은 정수 및 하수처리 과정에서 석탄발전소 2기 분량인 7625GWh의 에너지를 사용해 에너지 다소비 시설로 분류되고 있다.

환경부는 이번 정부 내(2026년) 전국 환경시설의 에너지생산 설비용량을 현재 1.57GW의 두 배인 3GW 규모로 증가시킬 계획이다. 특히 바이오가스 생산 확대를 위해 그동안 90% 이상 사료나 퇴비로 처리되던 음식물류폐기물, 하수찌꺼기, 가축분뇨 등 유기성 폐자원을 에너지로 재활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삼았다.

바이오가스 생산시설의 경우 국고를 우선적으로 지원해 현재 110곳의 바이오가스 생산시설을 140곳으로 늘리고, 가스 생산량도 연간 3.6억N㎥에서 5억N㎥까지 확대할 방침이다.

이는 국내 도시가스 공급량(250억N㎥/년, 2021년 기준)의 2% 수준으로 연간 1812억원의 LNG 수입대체 효과와 함께 폐기물에서 발생하는 메탄을 줄여 2026년까지 연간 110만톤의 온실가스를 추가로 감축하는 일석이조의 효과가 있다.

▲유기성 폐기물의 바이오가스화 공정.
▲유기성 폐기물의 바이오가스화 공정.

전통적 활용방식인 도시가스, 열, 전기 대체 외에도 민간기업의 관심이 높은 그린수소 생산을 위한 지원 사업도 펼쳐진다. 바이오가스의 주성분인 바이오메탄을 활용할 경우 그린수소 생산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환경부는 현재 2곳인 바이오 그린수소 생산시설(전주 음식물 바이오가스화시설, 창원 하수처리시설)을 최대 5곳까지 단계적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또 발생량은 많으나 기술 부족으로 활용이 저조한 동·식물성 잔재물을 올해부터 5년간 428억원을 투자해 민간기업과 함께 에너지화를 위한 기술개발을 추진한다.

환경부는 정수장, 하수처리시설, 댐 등 다양한 물관리 환경시설을 대상으로 에너지 설비투자를 2배 가까이 확대해 2026년까지 에너지 생산가능 설비용량을 모두 2.9GW 수준으로 늘린다. 이를 통해 연간 4800GWh의 에너지를 생산, 4735억원의 전력 대체효과와 함께 2026년까지 연간 70만톤의 온실가스를 추가로 감축하는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특히 수상태양광은 모듈효율 향상, 시공기술 개선 등으로 동일 면적당 에너지 생산효율이 빠르게 증가하는 추세를 반영, 2026년까지 1.1GW까지 확대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 또 물의 낙차를 이용하는 소수력발전 역시 하수처리시설, 정수장, 댐 등에 모두 9곳을 추가로 설치해 에너지자립도를 높일 계획이다.

여기에 물의 온도차를 이용하는 수열 및 하수열 에너지 보급에도 나서 하천수 및 전국에 산재된 상하수 관로를 이용해 2026년까지 0.3GW 이상의 수열에너지를 추가 발굴해 건축물의 냉난방용 열에너지로 활용한다.

오영민 환경부 재생에너지TF 과장은 “미래 사회는 모든 건물과 기반시설에서 자체적으로 에너지를 만들고, 탄소 발생을 상쇄하는 방향으로 가야 한다”며 “이런 변화가 현실이 되도록 환경부가 한발 먼저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채덕종 기자 yesman@e2news.com


 

 

저작권자 © 이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