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린피스 '에너지대전환과 일자리' 토론회 개최
탈탄소경제 시대 녹색 일자리 창출 필요성 강조

▲홍종호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교수가 탄소중립의 사회경제적 파급효과와 새 정부 에너지정책방향 평가를 주제로 발표를 하고 있다.
▲홍종호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교수가 탄소중립의 사회경제적 파급효과와 새 정부 에너지정책방향 평가를 주제로 발표를 하고 있다.

[이투뉴스] 원전 확대에 경도된 정부 정책이 에너지전환에 따른 사회적 편익과 일자리 창출 효과를 감소시킬 것이란 지적이 나왔다. 

홍종호 서울대 환경대학원 교수는 그린피스가 20일 한국프레스센터 국제회의장에서 에너지전환포럼 및 연세대 공과대학과 ‘에너지 대전환과 일자리’를 주제로 개최한 토론회에서 이같이 밝혔다. 

그에 따르면 2050년 탄소중립 달성 경로에서 발생하는 사회적 편익은 2030년까지 228조원, 2050년까지 1902조원에 이른다. 국가차원의 RE100 달성 과정에서 발생하는 재생에너지 부문 일자리도 2030년 28만2602개, 2050년에는 50만3274개로 추산했다.

새 정부의 에너지정책방향에 대해선 "목표가 구체적이지 않고 원전에만 집중돼 실현 가능하고 합리적인 에너지믹스를 다시 정립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홍 교수는 "윤 정부가 원전 비중을 2030년 30% 이상으로 확대하는 것은 매우 부적절하다"며 "재생에너지 비중을 높게 두지 않아 석탄 및 가스발전 비중 계획에 따라 유동적으로 변할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재생에너지는 정부 의지만 있으면 금방 확대가 가능하며 사회적 편익도 크지만 정부가 재생에너지산업 확대를 포기한다면 일자리가 감소할 것”이라며 “이는 재생에너지 시장이 위축될 뿐만 아니라 기후문제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해 산업 경쟁력 약화로 이어진다”고 꼬집었다.

로버트 폴린 메사추세츠대 경제학 교수는 한국 정부가 기후위기 대응을 위해 2030년 온실가스 배출량을 2018년 대비 40% 감축하고 2050년 넷제로를 달성하는 정책을 추진할 경우 2030년까지 최대 86만개의 일자리가 창출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조용성 고려대 교수(왼쪽 세번째)를 좌장으로 에너지 대전환과 일자리에 참석한 토론자들이 국내 재생에너지 방향에 대해 의견을 나누고 있다.
▲조용성 고려대 교수(왼쪽 세번째)를 좌장으로 에너지 대전환과 일자리에 참석한 토론자들이 국내 재생에너지 방향에 대해 의견을 나누고 있다.

이어진 토론회는 조용성 고려대 교수를 좌장으로 ▶정규창 한화큐셀 파트장 ▶조은주 경기도 일자리재단 청년 일자리 본부장 ▶김지석 그린피스 전문위원 ▶송민욱 에이치에너지 O2O 팀장이 참석했다.

김지석 전문위원은 "독일은 연간 22GW의 태양광을 설치해 2030년까지 215GW 보급을 목표로 하는 반면 국내는 20여년간 설치된 태양광이 22GW에 불과하다"며 “독일은 재생에너지 확대를 전격 추진하며 일자리 부족이 아닌 인력 부족을 걱정하고 있다. 같은 제조기반 수출국인 독일의 에너지정책은 우리나라와 대비된다”고 비판했다.

정규창 한화큐셀 파트장은 "지난해 기준 국내 태양광 관련 일자리는 10만명이며 77%가 중소규모사업자들로 편중돼 전통적인 제조업 및 건설업은 상대적으로 적다"며 "올해 신규 인허가가 감소해 설치량이 줄어들 수 있으며 원부자재 가격 및 환율 상승 등으로 제조업 환경도 좋지 않아 전통적인 일자리 수 증대가 현실적으로 어려울 것"이라고 우려했다.

진경남 기자 jin07@e2news.com 

저작권자 © 이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