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물자원관, 포름산염 섭취해 고부가 플라스틱 생산하는 미생물 배양

[이투뉴스] 국립생물자원관(관장 서민환)은 포름산염을 먹이로 삼아 고부가가치 바이오플라스틱 소재를 생산하는 미생물 2종을 최근 분리 배양하는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바이오플라스틱은 식물, 미생물 등을 기반으로 만든 플라스틱을 뜻하며, 자연상태에서 석유로 만들어진 플라스틱보다 쉽게 분해된다. 

개미산이라고 불리는 포름산염(폼산염)은 수소, 탄소, 산소로 이뤄진 산성 액체(카복실산, CH2O2)다. 최근 이산화탄소(CO2)와 수소(H2) 기체를 합성해 포름산염으로 전환하는 온실가스 저감기술(탄소 포집·저장·활용)이 주목받고 있다.

생물자원관은 일부 미생물이 ‘탄소 포집 및 활용·저장 기술’로 발생한 포름산염을 섭취해 바이오플라스틱을 생산할 수 있다는 점에 착안해 올해 초부터 고려대 및 원광대 연구진과 공동연구를 추진했다.

▲포름산염 먹는 미생물을 이용한 고부가가치 바이오플라스틱 생산 과정.
▲포름산염 먹는 미생물을 이용한 고부가가치 바이오플라스틱 생산 과정.

연구진이 분리 배양한 미생물은 슈도모나스(Pseudomonas)속 2종으로, 국내 하천 및 저수지 등에서 찾아냈다. 또 기존에 알려진 메탄올자화균 메틸로러브럼(Methylorubrum) 보다 5배 이상의 포름산염을 섭취해 바이오플라스틱을 생산하는 것도 확인했다. 

이들 균이 생산하는 바이오플라스틱 소재는 폴리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Polyhydroxybutyrate, PHB)로 석유로 만든 일반 플라스틱과 성질이 비슷하지만 자연상태에서 쉽게 분해된다. 또 화장품 용기나 재활용 플라스틱, 수술용 봉합사 등의 제작에 쓰이고 있다.

연구진은 고부가가치 화합물인 바이오플라스틱 소재를 생산하는 이들 미생물의 유전체를 분석할 예정이며, 이를 통해 최적의 포름산염 활용 기술을 개발할 계획이다.

이병희 국립생물자원관 유용자원분석과장은 “온실가스 저감을 통한 탄소중립 달성에 기여할 수 있도록 포름산염 활용 미생물을 이용한 바이오플라스틱 생산기술 개발에 박차를 가할 것”이라고 말했다.

채덕종 기자 yesman@e2news.com 

저작권자 © 이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