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체질개선의 필요성이 이제 '발등의 불'이 됐다.

 

정부가 2013년부터 온실가스 배출량 강제할당과 배출권거래제(Cap & Trade) 도입을 골자로 한 ‘기후변화대책 기본법’을 입법 예고했기 때문이다.

 

이 기후변화대책 기본법 제정은 ‘포스트 교토체제’에 대비하라는 경고다.

 

특히 기후변화대책 기본법 예고에는 온실가스 6위 배출국인 우리나라가 더 이상 포스트 교토체제에 대한 대비를 늦출 수 없다는 절박한 상황이라는 인식이 녹아 있다.

 

하지만 제조업, 그것도 온실가스 배출이 많은 중화학공업이 산업의 중심을 이루고 있어 법 제정의 충격이 유럽연합(EU) 등 선진국보다 클 수밖에 없다.

 

이에 따라 기업들은 지금부터 탄소정보공개프로젝트(CDP)와 에너지진단 등을 활용해 배출량을 정확히 측정하고 줄여나가는 노력을 시작해야 한다.


‘녹색경영’을 도입해 위기를 기회로 삼는 현명함과 지혜가 요구되는 시대가 도래했다고 하겠다.

 

무엇보다 온실가스는 바로 돈이라는 인식을 갖는 것이 중요하다고 전문가들은 입을 모은다. 선진국에서 배출권 거래시장이 뜨고 있다는 점이 이를 증명한다.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초기 투자비용은 소모되더라도 장기적으로는 강제 할당된 양보다 적게 배출하는 경우 나머지는 팔 수 있기 때문에 기업에 있어서는 지속적인 수입원이 될 수 있다.

 

정부도 2013년까지 기다릴 것이 아니라 지금부터 온실가스 배출을 크게 줄인 기업에는 인센티브 등을 주는 방법으로 녹색경영을 체질화하도록 지도해 나가야 한다.

 

아울러 정부는 구체적인 온실가스 감축 목표치와 기간을 하루빨리 제시해 기업들이 온실가스 감축에 대한 세부적인 계획을 조속히 세울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경제가 성장해도 온실가스 발생량이 늘어났다면 성장이 의미가 없다는 걸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는 정래권 외교통상부 기후변화대사의 말을 기업들이 하루속히 동감할 수 있길 기대한다.  

저작권자 © 이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