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5차 수소경제委 개최, 수소 생태계 확장 로드맵 수립
2030년 수소상용차 3만대, 수전해 기술 완전 국산화 등 

▲한덕수 국무총리를 비롯한 제5차 수소경제위원회 위원들이 세계 1등 수소산업 육성을 위한 중장기 로드맵에 대한 의견을 나누고 있다.
▲한덕수 국무총리를 비롯한 제5차 수소경제위원회 위원들이 세계 1등 수소산업 육성을 위한 중장기 로드맵에 대한 의견을 나누고 있다.

[이투뉴스] 정부가 대규모의 수소 수요 창출과 그에 맞는 인프라·제도를 구축해 수소 생태계를 확장한다. 오는 2030년 수소상용차 3만대 운행과 함께 액화수소충전소 70개소를 구축하고, 오는 2036년 청정수소 발전 비중을 7.1%에 이르게 한다는 목표다.    

이와 함께 수소산업 육성전략을 통해 오는 2030년 선진국 수준 기술을 확보하고 글로벌 1위 품목 10개, 수소전문기업 600개를 육성한다는 계획이다. 

또한 청정수소 생산기술 국산화 등 수소분야 초격차 기술 확보에 나서 수전해 기술 국산화율 100%, 액화·암모니아 기술개발, 수소 모빌리티 시장 1위를 달성하겠다는 의지다. 

9일 롯데호텔 서울에서는 한덕수 국무총리를 위원장으로 하는 제5차 수소경제위원회가 개최됐다. 새정부 출범 후 첫 번째로 열린 이날 위원회에는 정부 측에서 국무총리를 비롯해 산업·과기·환경·국토·해수·중기부 장·차관이 참석했으며, 민간에서는 각계 대표 및 유관기관장이 자리를 같이 했다. 

수소산업 본격 성장을 위한 새로운 수소경제 정책방향이 논의된 이날 위원회는 청정수소 공급망 구축 및 세계 1등 수소산업 육성이라는 국정과제를 제시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한 수소경제 정책방향을 발표했다.

이번에 제시된 정책방향은 ▶규모·범위의 성장(Scale-Up) ▶인프라·제도의 성장(Build-Up) ▶산업·기술의 성장(Level Up) 등 3大 성장(3UP) 전략이다. 

규모·범위의 성장에서는 발전·수송 분야에서 대규모 수소 수요를 창출하고, 글로벌 수소 공급망을 구축해 청정수소 생태계를 확장해나간다. 수소, 암모니아 혼소 발전을 실현하고, 수소버스·트럭 등 대형 모빌리티 보급을 확산하며, 국내외에서 대규모 생산기지를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인프라·제도 성장의 경우 청정수소 활용 촉진을 위한 유통 인프라와 제도적 기반을 마련한다. 세계 최대 수준의 액화수소 플랜트를 구축하고 액화충전소를 확대하며, 암모니아·액화수소 인수기지를 건설하고, 수소 전용 배관망을 구축한다. 또 수소발전 입찰시장 개설, 수소 사업법 제정, 청정수소 인증제 도입 등 제도적 기반을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산업·기술의 성장에서는 수소산업 육성을 뒷받침하기 위한 기술 혁신에 나서 수소 활용 분야뿐만 아니라, 생산, 유통 전주기의 핵심기술을 확보한다. 특히 수전해, 액화수소 운송선, 트레일러, 충전소, 모빌리티·발전분야 연료전지, 수소터빈 등 7대 전략분야를 육성하고 기술력 있는 수소기업을 발굴해 지원을 강화하며, 사업에 걸림돌이 되는 규제는 과감하게 개혁해나가고 우리 제품의 수출상품화를 통해 해외시장을 선점하겠다는 의지다.

◆수소산업 7대 분야 기술개발 목표 및 수출전략
이 같은 수소경제 정책을 달성하기 위한 세부 실행방안도 제시됐다. 산업부는 대규모의 수소 수요 창출과 그에 맞는 인프라·제도 구축을 통한 수소 생태계 확장에 나서 오는 2030년 수소상용차 3만대, 액화수소충전소 70개소를 구축하고, 2036년 청정수소 발전 비중 7.1%를 달성한다는 계획이다.   

수소버스·트럭의 구매보조금을 확대하고, 지자체 대상 수소버스·충전소 구축 지원 시범사업, 경찰버스의 수소버스 전환, 수소버스 취득세 감면 및 고속도로 통행료 감면 연장 등을 추진한다. 또한 수소 50%, 암모니아 20% 이상 혼소 발전을 위해 2027년까지 기술개발과 실증을 완료하고 2028년부터 단계적으로 혼소발전을 확산시킨다.

또 주유소 및 LPG충전소에 재생에너지와 연료전지, 자가발전으로 전기차 충전 수요에 활용하는 에너지슈퍼스테이션 등을 통해 연료전지 보급을 확산시키고, 소형 수소 터빈, 수소엔진 등을 개발해 분산자원을 다양화한다. 아울러 2025년까지 수소환원제철 전환의 기초기술을 개발하고, 2030년까지 석유화학 설비에 투입되는 연료의 전부 또는 일부를 수소로 전환한다. 

수소 수요 증가에 대응할 수 있는 유통 인프라 구축도 동력을 더한다. 세계 최대 수준인 연 4만톤 규모의 액화수소 플랜트를 선제적으로 구축하고, 보조금 확대와 기술개발 지원으로 액화충전소를 확대해나간다는 계획이다.

또한 2030년까지 석탄발전소 밀집 지역에 연 400만톤급 암모니아 인수기지를, LNG발전소 밀집지역에 연 10만톤급 액화수소 인수기지와 수소 전용 배관망을 구축한다. 

이와 함께 고효율·대량생산 기술력을 통해 국내 그린수소 생산을 확대하고, CO2 해외이송을 지원해 국내 블루수소 생산기반을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2026년까지 친환경 암모니아 추진 운반선, 2029년까지 액화수소 운반선 건조를 통해 청정수소·암모니아의 해상운송을 실현한다는 목표다. 

해외진출 유망분야의 수출산업화도 촉진한다. 수소 모빌리티, 발전용 연료전지, 수전해 시스템, 액화수소 운송선, 수소충전소 등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5대 유망분야는 실증 및 트랙레코드 확보를 통한 수출상품화를 적극 지원해 해외시장을 선점하겠다는 것이다. 

세계 1등 수소 산업 육성을 뒷받침하기 위해 민·관이 함께 시너지를 발휘해 국산화가 시급한 기술 분야를 우선 개발할 수 있도록 ‘수소기술 미래전략’도 수립됐다.

현재 60%에 불과한 수전해 기술 국산화율을 2030년 100%로 높이고, 도전적인 차세대 기술개발을 지원해 민간기업이 지는 기술개발 불확실성의 부담을 정부가 분담한다는 계획이다. 아울러 청정수소 생산기술 국산화에 나서 수소 생산기술 중 기술 성숙도가 높은 알칼라인 수전해, PEM 수전해 기술 위주로 우선 국산화를 추진하고, 수전해 성능과 효율성을 높이는 연구를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수소 공급을 위한 저장·운송 기술도 고도화한다. 전국 수요처에 수소를 보급하기 위한 방안으로 육상 운송을 위해 기체수소 튜브트레일러 고도화 및 액체수소 튜브트레일러 상용화를 추진하고, 배관망 이송을 위한 취성평가기술, 소재연구 등을 지원하며 충전소 인프라 기술개발에 적극 나선다는 계획이다.

향후 수소 모빌리티 대형화 시대에 대비해 수소철도, 선박용 연료전지 리패키징 및 내구성 강화 기술을 개발하고, 항공 모빌리티 다양화 시대에 대비해 항공용 경량형 연료전지 개발도 추진된다. 

또한 국산 기술로 연료전지 발전시스템을 대량양산하기 위한 기반기술을 개발하고, 국내 발전기술 노하우를 접목한 수소·암모니아 활용 발전기술을 마련해 오는 2027년 270㎿급 수소전소터빈을 개발하고, 2030년 380㎿급 개발·실증을 완료한다는 계획이다. 

채제용 기자 top27@e2news.com

저작권자 © 이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