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욱 이투뉴스 발행인

[이투뉴스 사설] 새 정부가 들어서면서 노후 원자력 발전소의 수명을 연장하는 등 원전 발전을 늘리면서 발전소에서 매년 배출되는 사용후핵연료가 크게 증가해 저장시설의 포화상태가 앞당겨지는 등 발등의 불이 되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최근 원전 적극 활용을 선택한 제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이 반영되면서 원자력발전소의 사용후핵연료 저장시설의 예상 포화시점이 기존보다 1~2년 앞당겨졌다고 밝혔다.

산업부에 따르면 2031년으로 예상됐던 전남 영광군 한빛원전의 사용후핵연료 저장시설 포화시점은 2030년으로 1년 빨라졌다. 또한 경북 울진의 한울원전은 기존 2032년에서 2031년으로, 경북 경주시의 신월선원전은 당초 2044년에서 2042년으로 각각 포화시점이 앞당겨졌다. 다면 부산 기장군에 있는 고리원전은 포화시점이 2031년에서 2032년으로 늦춰졌다는 것이다.

이처럼 원전 구내에 있는 저장시설의 포화시점이 빨라진 것은 2021년 12월 현재 사용후핵연료 예상발생량은 63만5329다발이었으나 최근 재산정된 규모는 79만3955다발로 1년 사이에 25% 가량인 15만8626다발이 증가했기 때문이다.

사용후핵연료 저장시설의 포화는 그렇지 않아도 시급히 해결해야할 과제였다. 사용후핵연료 처리를 둘러싸고 아직도 뾰족한 해결책이 나와있지 않을 뿐 아니라 대책이 나온다 하더라도 실현까지는 장구한 세월이 걸리기 때문이다.

우선은 원자력발전소의 구내의 수조에 사용후핵연료를 보관하고 있으나 이는 어디까지나 임시조치이다. 사용후핵연료는 반감기가 10만년 이상이기 때문에 이를 영구 처리한다는 게 사실상 불가능하거니와 영구처리 방식도 세계적으로 정립된 방안이 없는 게 현실이다.

따라서 학계와 전문가들은 영구처리 시설을 마련하는 방안과 중간저장시설을 건설하는 안을 둘러싸고 논의는 하고 있으나 두가지 시설 모두 건설하는데는 최소한 10년은 소요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원전 구내에서 사용후핵연료를 보관하는 있는 것 자체도 원전 지역주민들의 반대에 봉착해 있는 상황에서 중간저장시설이나 영구처리 시설의 건립을 위해 부지를 선정하고 건설에 들어가 완공하기까지에는 엄청난 시일이 소요될 것이 뻔하다.

사용후핵연료는 고준위 폐기물로 의료기관 등에서 쓰이는 중저준위 방사물폐기장을 선정해 건설하는데도 극심한 지역주민의 반대와 여론의 반대에 직면했던 점을 감안하면 행로가 결코 순탄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7~8년후의 일이라고 팔짱만 끼고 있을 수만은 없는 엄혹한 현실이다.

저작권자 © 이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