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욱 이투뉴스 발행인

[이투뉴스 사설] 인류의 건강을 위협하는 해양쓰레기가 해마다 늘고 있으나 이를 줄이기 위한 묘안은 쉽게 나오지 않고 있다.

해양수산부가 집계한 바에 따르면 작년 해양쓰레기 수거량이 5년 전보다 54% 이상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정부와 해양환경공단, 각 지방자치단체에서 수거한 해양쓰레기는 약 12만6000톤으로 5년전인 2017년 8만2000톤보다 54% 급증했다.

해양쓰레기 수거량은 2013년 4만9000톤에 불과했으나 2019년 10만톤을 넘어섰고 2020년 13만8000톤으로 최대치를 기록한뒤 2021년에는 12만1000톤으로 줄었다가 작년에 다시 5000톤이 늘어났다.

더욱이 심각한 것은 정부가 해양쓰레기 수거량을 비롯해 지역별로 해양쓰레기 모니터링 통계를 매년 공개하고 있으나 실제로 국내 연안 일대에 해양쓰레기가 얼마나 발생했는지는 정확히 파악할 수 없다는 사실이다.

수거량은 매년 나름대로 조사하고 있지만 해양쓰레기가 얼마나 발생하고 있는지는 모르고 있다는 것.

해양쓰레기는 선박사고를 일으키거나 관광자원을 훼손시키는 등 문제가 클 뿐아니라 수거 및 처리하는데 막대한 비용이 들고 외교 갈등을 유발할 가능성도 크다. 전문가들에 따르면 바다에 버려진 밧줄과 어망이 선박 추진기에 감기거나 비닐봉지가 냉각수 파이프에 들어가 엔진 부하를 일으키는 등 전체 선박사고 중 10%가량이 해양쓰레기에서 촉발된다.

해양쓰레기는 확산되거나 심해에까지 영향을 미치기 전에 수거해야 하나 바다의 특성상 위치파악이 어려워 수거가 효율적으로 이뤄지지 못하고 있다. 

특히 플라스틱 음료수 페트병이나 수산양식에 사용되는 부표는 바다에서 적기에 수거되지 않으면 작은 파편화가 진행돼 생선류 등 체내에 누적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같은 미세플라스틱의 위해성은 해양생태를 파괴하는 것은 물론 인류의 건강을 위협하고 있다는 경고가 쏟아지고 있다.

심지어는 사람이 플라스틱으로 된 신용카드  몇장씩을 먹고 있다는 비유도 나올 만큼 해양에 버려지는 쓰레기의 문제점은 해가 갈수록 심각해지고 있다.

유엔도 문제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2030년까지 전 세계의 바다의 30%를 보호구역으로 지정해 바다를 쓰레기 등으로부터 보호하려는데 나서고 있다. 유엔이 추진하는 글로벌 해양조약은 공해의 30%를 보호구역으로 지정해 어업과 항로설정, 심해 채굴 등을 제한함으로써 해양환경을 보호하자는 것이다.

저작권자 © 이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