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욱 이투뉴스 발행인

[이투뉴스 사설] 태양광과 풍력 등 재생에너지 발전량이 늘어나면서 기존의 전력망이 강건하지 못할 뿐만아니라 위기가 발생할 경우 회복탄력성이 갈수록 약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근본적인 대응책 마련이 시급하다.

정부는 봄철 계통안정화 성능을 갖추지 않은 태양광 설비의 대량 계통이탈 사고가 우려되면서 4월부터 다음달까지 1GW가량의 태양광 설비 출력제어에 들어갔다.

당국이 이처럼 재생에너지 출력제어에 착수한 것은 기존 전력망이 재생에너지로 생산한 전력을 수용하는데 여러 가지 문제점이 발생하기 때문. 전문가들은 태양광과 풍력처럼 인버터를 거쳐 교류망(AC)에 접속하는 전원 비중이 증가하면 계통의 신뢰성과 안정성은 물론 불시 사고시 스스로 정상으로 되돌아가는 회복탄력성이 약해질 수밖에 없다고 지적한다.

재생에너지 발전비중이 유럽연합(EU)의 경우 20%가 넘어서면서 선진국들의 경우 재생에너지 생산전력을 전력망에 물리는 방안 등에 관해 연구가 많이 이뤄지고 시행착오 끝에 안정성이 높아진 반면 우리나라는 사실상 그동안 대비책을 세우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재생에너지 발전비중이 높은 호남지역과 경남, 제주도 등은 벌써부터 재생에너지 전력의 수용성이 크게 떨어지면서 안정성을 갖추지 못한 설비를 교체하는 등 작업을 벌이고 있으나 임기응변식이라는 비판을 면치 못하고 있다.

더욱이 이같은 대응방안은 그때 그때 땜질식이 아닌 제도적인 방안을 마련하고 이를 시행해야 하는데도 아직 필요한 기준을 만들고 기준들이 계통계획이나 운영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를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처럼 재생에너지 전력망 접속에 대한 안정성이 떨어지면서 정부는 재생에너지의 출력을 제한하는 조치를 취하고 있으나 이에 대한 재생에너지 업계의 반발 또한 작지 않다.

전문가들은 우리나라의 경우 관련 법상 발전과 송전 및 배전, 판매 사업이 분리돼 있어서 배전 및 송전은 한국전력에 책임이 있으며 발전사업자에게 책임이 없는데도 불구하고 발전사업자에게 책임은 물론 비용과 부담을 전가하고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재생에너지 발전량 비중은 작년말 현재 7.8%에 그치고 있으나 2030년 21.6%, 2036년 30.6%로 높이기 위해서는 설비용량이 작년 29.2GW에서 2036년 108.3GW로 두배 이상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이처럼 재생에너지 전력생산량이 늘어날수록 취약한 전력망에는 더욱 부담이 될 것으로 보여 당국은 가능한한 빠른 시간안에 제도를 정비하고 시설을 확충함으로써 취약한 전력망을 강건하게 개선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이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