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욱 이투뉴스 발행인

미국 정부가 2032년까지 전기차 신차 판매량 비중을 기존의 10배 이상으로 확대할 계획을 공식 확정했다. 
이는 화석연료차를 점진적으로 퇴출시킴으로써 온실가스 감축을 대폭 줄여 2050년에는 탄소중립을 실현하기 위한 포석으로 풀이된다. 또 유럽연합(EU)이 2035년부터는 화석연료를 사용하는 차량 생산을 전면 중단하기로 한데 맞대응하기 위한 전략으로 분석된다.

미국환경보호청은 최근 내연기관 자동차에 대한 탄소배출 규제안을 발표, 2032년부터는 승용차의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1마일 당 82g으로 제한하기로 했다. 
이는 2026년 대비 이산화탄소배출량을 무려 56% 줄여야 하는 것으로 내연기관차의 기술개선으로는 거의 불가능해 휘발유와 경유 등 화석연료를 연료로 쓰는 자동차가 아닌 온실가스 배출량이 적은 전기차로 유도하는 조치로 보인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앞서 2021년 행정명령을 통해 2030년 전기차 판매량을 신차의 50%로 올리겠다고 발표한 바 있으나 이번 조치는 2년 전보다 목표치를 더 높이는 것으로 주목받고 있다. 세계 최대 경제대국의 이같은 조치는 수출의존도가 높은 우리나라에는 엄청난 기회이자 도전이다. 
미국은 이미 인플레이션감축법(IRA)을 통해 중국에서 생산된 원자재를 원료로 사용한 전기차의 수입을 금지하는 등 향후 미국의 전기차 확대 정책의 수혜가 중국으로 돌아가는 것을 막을 뿐만 아니라 미국의 안보를 위협한다는 시각을 갖고 있다.

이미 우리나라는 이차전지 시장에서 상당한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다. 미국에 많은 양의 배터리를 수출하는 것은 물론이고 IRA법에 따라 미국 내에 배터리 공장 등을 새로 건설하는데 부심하고 있다.
미국의 전기차 비중 확대로 인해 수혜를 받는 분야는 전기차의 가장 핵심부품인 배터리 산업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전기차를 많이 보급하다 보면 전기차 충전소 역시 현재의 주유소와 비슷한 수준으로 확대될 필요가 있다. 
이처럼 불과 9년 안에 미국의 전기차 수요가 급증하는 것은 우리나라의 배터리 생산능력의 확대는 물론이고 충전 분야에도 엄청난 기회가 열려 있는 것을 의미한다. 우리 정부도 이에 착안해 이차전지 산업 육성 및 발전을 위해 배전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것은 참으로 다행스런 일이다.

저작권자 © 이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