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서비스’ 유명무실로 이미지 실추 우려

한국전력공사가 전기안전공사에서 시행하고 있는 ‘스피드 콜’ 확대추진에 몸이 바싹바싹 마르고 있다.

 

안전공사가 전기재해의 신속한 안전성 확보를 위해 적극적으로 나섬에 따라 자칫 한전의 유사 제도인 ‘홈 서비스’가 유명무실해 질 수 있기 때문이다.
 

7일 한전에 따르면 안전공사에서 확대 실시하려는 ‘스피드 콜’이 국민을 위한다는 대의적 명분은 공감하나 이 제도가 정착될 시 고객들이 행여나 한전에 대한 이미지가 흐려질까 염려하고 있다.

‘홈 서비스’는 수용가 내선설비 이상으로 인한 정전시 한전과 계약을 체결한 전기공사업체를 긴급 출동하게 해 복구하는 서비스다.

 

옥내 전기설비 사용 중 정전 등 고충사항에 대해 24시간 신속한 무료 서비스를 통해 안전하고 편리하게 전기를 사용하기 위한 ‘스피드 콜’과 같다.

현재 안전공사의 무료 ‘스피드 콜’은 제주, 강원 일부지역을 대상으로 시범실시 중이며 한전의 유료 ‘홈 서비스’는 전국 15개 운영사업소에서 계약을 체결한 33개 전기공사업체가 운영하고 있다.

 

‘홈 서비스’와 ‘스피드 콜’은 전기재해를 복구하는 것에서는 같으나 고장설비 복구 시 ‘홈 서비스’는 유료며 ‘스피드 콜’은 무료라는 점이 다르다.

따라서 당연히 고객은 무료로 전기재해를 복구해 주는 ‘스피드 콜’ 제도에 만족감을 표시할 수밖에 없다.

 

실제로 ‘홈 서비스’와 ‘스피드 콜’ 제도를 중복해 적용 받고 있는 제주지역 도민들의 응급조치건수는 ‘스피드 콜’은 월평균 200여건 정도이나 ‘홈 서비스’는 30여건 정도밖에 안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안전공사가 ‘스피드 콜’을 전국적으로 확대하면 한전의 ‘홈 서비스’가 위축되는 것은 당연한 일.

 

익명을 요구한 한전의 한 관계자에 따르면 “옥내, 옥외를 떠나 전기설비 사용 중 정전 등으로 인한 국민고충을 덜어주기 위한다는 명목상으로는 안전공사 ‘스피드 콜’이 전국적으로 확대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그로인해 한전에 대한 고객들의 불만요소가 확대될 까 걱정이 앞선다”고 말했다.

 

즉, 일반 국민들은 ‘전기’하면 ‘한전’을 떠올리는 데 혹, ‘떠넘기기가 아닌 가’ 오해의 소지를 받을 수 있다는 것이다.

 

그는 또 “한전이 시범적으로 운영하고 있는 ‘홈 서비스’제도가 ‘스피드 콜’의 확대로 중복되는 지역이 많아질 경우 자칫 ‘홈 서비스’제도가 유명무실해 질 수도 있으며 그럴 경우 한전의 이미지가 더욱 타격을 받을 수 있다”는 지적이다.

 

안전공사 한 관계자는 “‘홈 서비스’는 옥내ㆍ외를 떠나 고객 요청시 서비스를 해줘야 하나 실제로 옥외 전기설비고장에 한해서 초치를 취하는 경우가 많다”며 “안전공사는 삶의 질 향상을 갈망하는 국민에 대한 서비스 향상을 위해서라도 ‘스피드 콜’ 제도 확대를 위해 관련기관과 긴밀한 공조체제를 유지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이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