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승호 광운대학교 전기공학과 교수

▲송승호 광운대학교 전기공학과 교수
송승호
광운대학교
전기공학과 교수

[이투뉴스 칼럼 / 송승호] 주변 여러 곳의 해상풍력발전소에서 발전된 전기를 모아서 공동으로 한전 변전소까지 연결하는 설비를 공동접속설비라고 하며 실제로 한전이 지난해부터 서해안 일부 지역에서 추진하고 있다. 송전선로 용량은 한 번에 3GW까지 건설이 가능하므로 다수의 발전소에서 전력을 모아서 하나의 선로로 육지 변전소까지 연결하는 일은 당연히 매우 효율적인 방법이며 바람직하다.

그런데 여러 발전소의 전력선을 실제로 모아서 연결하게 되는 공동접속모선(Collector Bus)의 건설 예정 위치가 육지 안쪽이라고 들었다. 이게 무슨 말인가? 발전소들은 바다 한가운데 적게는 수km에서 십수km 떨어져 있는데 공동접속모선까지는 각자 발전사업자들이 알아서 연결해야 하는 상황이다. 즉 사업자별로 육지에 상륙하는 케이블이 필요하므로 적게는 4세트에서 많게는 6세트 정도가 해안선을 건너야 하는 것이다. 해안선에 그 많은 케이블이 상륙할만한 공간은 있을지, 비용은 얼마나 더 들지, 과연 허가는 날지 모르겠다.

해상플랫폼을 건설하고 육지로 케이블을 상륙시키는 일이 쉬운 일은 아니다. 그러나 그렇다고 공동접속점을 육지에 건설하면 더 많은 비용과 문제가 발생할 것이 분명하다. 왜 이렇게 되었을까? 한전의 업무 자세와 태도를 묻지 않을 수 없는 대목이다.

필자자 생각에는 한전이 우리나라 재생에너지 발전 확대의 핵심 키를 쥐고 있다. 계통이 없으면 재생에너지 발전소를 건설할 수도 운영할 수도 없다. 과연 한전은 재생에너지 발전 확대에 진심일까? 

조금만 생각해 보아도 알 수 있듯이 한전이 해상풍력을 포함한 재생에너지 발전의 대폭적인 증가로 얻을 수 있는 게 없다. 송전 요금이 제대로 책정되어 있는 것도 아니고 (재생에너지 늘어난다고) 매출이 올라가는 것도 아니다. 오히려 수만, 수십만개의 발전소가 생기면서 업무는 늘어나고 민원이나 사고도 많아지는 게 당연하다. 

하지만 우리의 현실은 OECD국가 중 재생에너지 보급률 최하위이다. 소용량 중심의 태양광 발전소가 24GW 넘게 설치된 반면 풍력 설비용량은 1.8GW에 그쳐 전체 전력생산의 0.6%를 감당하고 있다. 재생에너지 발전량 확대는 기후위기 대응 뿐만 아니라 RE100 등 주요 수출품의 산업 경쟁력 확보에도 매우 시급하게 필요한 상황이다.

그러니 한전의 경영평가 목표에 “재생발전 에너지 수송량”을 넣자고 제안한다. 책임을 명확히 하자는 것이다.

그리고 책임만 주어서는 안 되고 제대로 투자할 수 있도록 합당한 재정과 인력을 지원해주자. 

최근 발표된 10차 장기 송변전설비계획은 긍정적으로 평가할 만하다. 여러 가지 방면으로 고민을 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실제로 언제까지 될까? 어떻게 재원과 추진 체계를 마련할까? 절대로 계획에만 그쳐서는 안 될 것이다. 장기계획의 특성상 신규 송변전 설비 건설의 큰 그림만 만들어진 것이라고 보여지고 구체적인 타당성 검토와 세부 계획 수립을 위해 앞으로 할일이 많다.

한편 이번 2분기 전력요금 인상 과정을 보면서 돈 없이 어떻게 설비투자를 하겠는가 생각이 들어 답답했다. 

다시 묻고 싶다. 과연 정부는 재생에너지 발전 확대에 진심인가? 국회를 비롯한 이 나라의 리더들은 어떤가?

게다가 전력요금 인상을 발표하면서 자구책으로 임금 인상분도 반납하고 인력도 동결한다고 하는데 이 또한 걱정스럽다.

전력계통이 달라지고 있고 달라져야 한다. 전력계통에 수많은 기술적인 도전과제가 발생하면서 더욱 많은 전문 인력이 필요하다. 수만개의 발전소가 기상 상황에 따라 출력이 변동하는 상황에 대비하여 최적의 설비 계획 및 운영 시나리오를 검토하고 재생에너지 계통 영향 분석 및 보완 대책의 적절한 최적의 대책을 세우기 위해서 지금보다 훨씬 더 많은 전문 기술인력이 필요하다. 그런데 그런 우수한 사람들을 뽑을 수 있나? 그 사람들이 한전에 가려 하겠는가? 

2023년 올해 안에 전력요금을 현실화하고 기반기금을 활용하여 미래 전력망 확충에 투자할 수 있게 하자. 또한 우수한 전문인력을 전력망 혁신 계획 및 건설, 운용에 100명 단위로 보충하자. 늦었지만 더 늦출 수 없다. 이것이 재생에너지 발전량 확대와 계통 안정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는 유일한 길이다.

저작권자 © 이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