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각역 등 30곳 가스누출 대비시설 '전무'

지난 8일 오후 서울 지하철 1호선 종각역 지하상가에서 발생한 초유의 유독가스 누출사고로 서울시내 지하도상가 현황과 안전관리 실태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서울시내 지하도상가의 효시는 1963년 지하철 2호선 을지로 구간이 개통됐을 때 지하철 구조물의 상부 공간을 지하보도로 이용하면서 조성된 을지로 지하도상가이다.

  

40여 년이 지난 현재는 대형 지하도상가가 모두 30개로 늘어났으며, 서울시설공단이 이들 상가를 통합 관리하고 있다.

  

이 가운데 시민들이 특히 많이 이용하는 지하도상가로는 종각, 을지로입구, 종로5가, 동대문, 서울광장, 청량리, 강남역, 잠실역 등이 꼽힌다.

  

서울시설공단은 지하도상가내 점포에서 임대료를 징수하는 대신 지하도상가의 안전과 시민 편의를 위해 전기, 소방 등 기본시설과 화장실 등 편의시설의 유지,관리를 맡고 있다.

  

현재 지하철역 공간에는 화재경보기, 스프링클러, 소화기 등 화재대비 시설이 설치돼 있다. 그러나 이번에 사고가 난 곳과 같은 지하도상가에는 가스누출 대비 시설이 전혀 없다.

  

하루 수십만 명이 이용하는 서울시내 지하도상가들이 유독가스 누출사고에 완전 무방비로 열려 있었던 셈이다.

  

공단 관계자는 "지하철역과 달리 지하도상가는 지하 1층이고 출입구도 많아 안전사고 발생시 신속히 대처할 수 있다"며 "지금까지 가스누출 사고가 한 건도 없었다는 점을 고려하면 이번 사고는 극히 이례적인 일"이라고 말했다.

  

사실 공단은 안전사고시 신속한 대응을 위해 내년중 공단 안에 종합방재센터를 설치한다는 계획을 이미 세워 놓고 있었다.

  

또 2009년까지 대형 지하도상가 20여 곳에 공기질 자동측정 시스템과 미세먼지, 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 포름알데히드 등 유해가스 감지 시스템을 설치할 계획도 갖고 있었다.

  

그러던 차에 거의 무방비로 이번 사고를 매우 당혹스러워 하는 분위기다.

  

그럼에도 대표적 다중 이용시설인 지하도상가를 유해가스 감지 시스템 하나 갖추지 않은 채 관리해 왔다는 것 자체가 또 하나의 후진적 '안전불감증' 사례라는 비판이 제법 거세다.

  

게다가 이번과 같은 지하도상가 가스누출 사고시 꼭 필요한 '시민대피 매뉴얼'조차 제대로 준비돼 있지 않아, 어차피 서울시설공단은 '부실관리' 책임을 면하기 어렵게 됐다.
 
 

저작권자 © 이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