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와 우크라이나간 가스분쟁이 3년만에 재연되면서 유럽지역의 가스대란이 지속되고 있다. 독일 등 러시아의 가스에 의존하고 있는 유럽지역 국가들이 엄동설한에 큰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유럽의 가스대란은 러시아의 천연가스를 유럽으로 공급하는 파이프라인이 우크라이나를 통과하고 있기 때문이다. 러시아가 유럽으로 수출하는 가스송출량의 약 80%가 우크라이나 영토를 지나가는 가스관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는 것.

 

더욱이 근년들어서는 우크라이나가 친서방 입장을 표명하면서 러시아가 정치적으로 가스문제를 이용하고 있다는 의혹까지 제기되고 있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가 겉으로는 우크라이나에 공급되는 천연가스 가격을 놓고 다툼을 벌이고 있지만 실제로는 러시아가 우크라이나의 발목을 잡으려는 의도가 있다고 보는데 기인한다.

 

우크라이나는 러시아의 이같은 압력에 맞서기 위해 자국을 통과하는 파이프라인 통행료 등을 앞세워 강력히 저항하고 있다. 러시아는 이에 대해 우크라이나측이 유럽으로 향하는 파이프라인에서 가스를 빼내고 있다고 주장하는 등 팽팽한 대립 양상을 보여왔다.

 

양측은 유럽연합(EU)의 중재로 우크라이나가 유럽행 가스관에서 가스를 빼돌리는지를 감시하기 위한 3국 감시단 파견에 합의하고 지난 13일 가스공급을 재개했으나 불과 4시간만에 이를 중단하고 말았다. 러시아측은 우크라이나가 합의문에 엉뚱한 조항을 넣었기 때문에 이는 무효라는 입장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에너지 문제는 이처럼 상황에 따라 언제든지 무기화할수 있다는 점에서 우리에게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특히 지난해 이명박 대통령이 러시아를 방문해 북한을 통과하는 가스 파이프라인을 통해 우리나라에 가스를 공급하기로 합의한 바 있다.

 

러시아와 북한, 우리나라의 경우는 유럽 가스대란과는 약간 입장차가 있기는 하다. 유럽 가스대란은 생산국과 경유국의 문제인 반면 우리가 러시아의 가스를 공급받는다면 경유국과 소비국의 문제가 되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하더라도 파이프라인 경유국이 문제를 일으킬 소지가 있다는 점에서는 마찬가지라고 밖에 할수 없다.

 

지난해 정부는 러시아 가스 도입문제와 관련해 큰 어려움은 없을 것이라며 러시아와 북한이 해결해야 하는 사안이라고 약간 비켜가는 입장을 보였다. 그러나 북한은 러시아로서도 다루기가 여간 쉽지 않다는 점에서 충분한 논의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믿는다.

 

가스 파이프라인 건설에는 엄청난 자금이 투여된다. 수조원대의 비용을 쓴 후에 문제를 해결하려 한다면 소잃고 외양간 고치는 식이 될 것이다. 보다 장기적이고 정교한 접근이 이루어져야할 부분이다. 

저작권자 © 이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