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력발전은 신재생에너지처럼 온실가스를 배출하지 않는 친환경 에너지 가운데 하나다. 우리나라는 전체 전력공급량의 40%를 원자력에서 충당하고 있다.

 

이를 2030년까지 50~60%수준으로 높인다는게 국가에너지기본계획을 수립하면서 정부가 밝힌 구상이다.

원자력을 에너지 공급의 중심축으로 삼아 더욱 늘려나가겠다는 계획인 셈이다. 

 

우리나라는 이미 용량에 있어 세계 6위 원전 강대국이다. 정부는 원전 산업화를 통해 원자력을 고부가가치 상품으로 해외에 수출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처럼 한 나라에서 원자력이 차지하는 비중과 위상은 날로 늘어가고 있지만 사용후 핵연료 등 방사성 폐기물에 대한 사후처리는 제자리를 맴돌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진정한 '원자력 강국'은 발전뿐만 아니라 사용후 폐기물을 얼마나 완벽하게 처리했는지에 달려있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한다.

 

최근 일본은 원전 폐기물, 특히 고준위 방사성 폐기물 사후처리에 있어 각별한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일본은 도카이ㆍ미즈나미ㆍ호로노베 등 세 곳의 고준위 폐기물 시설 연구에 2020년까지 매년 85억엔(약 1200억원)을 투자할 예정이다.  

 

일본원자력연구개발기구는 "나라마다 지질구조가 달라 지하에 고준위 폐기물을 처분하려면 실제 각각 동굴을 파 직접 안전실험을 해야 한다. 지하세계를 함부로 예측하면 안된다"며 오늘도 땅 속 깊이 굉음을 내고 공사를 진행하고 있다고 한다.

 

지하 1000m를 목표로 현재 300m지점까지 공사를 진행하고 있는 미즈나미 지하처분연구소에는 약 60여명의 과학자가 상주하면서 지하에서 일어나는 물과 금속의 유동 및 지하구조탐색에 열을 올리며 원자력 폐기물의 안전에 만전을 다하고 있다.

 

하지만 우리의 실정은 너무나 다르다. 한국의 저준위 폐기물 시설은 이제 막 공사에 들어간 수준이며 제대로 된 고준위 폐기물 연구시설이 없어 원자력연구원 뒷산에 작은 동굴하나 만들어 놓고 모형실험을 진행하고 있다.

 

원자력연구원 관계자는 "연구원 30명에 예산은 연간 60억원 정도로 인건비를 제외하면 약간의 연구비만이 남아 어쩔 수 없어 장기 연구 계획만 세워 놓고 있다"고 하소연 한다. 화려한 원전 확대정책 이면에 가려진 사후폐기물 정책의 현주소다.    

 

정부는 녹색성장의 원동력으로 재생에너지와 함께 원자력 발전을 꼽고 있다. 원자력으로 온실가스가 없는 풍부한 전기를 공급하는 것도 좋지만 뒷처리는 잘 되고 있는지 한 번쯤 살펴 볼 일이다.

저작권자 © 이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