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성군 건국대 겸임교수

삼성코닝 액정화면유리(cm3당) 0.013kg, 아시아나항공(A330-300기종 1인 km당) 0.109kg, 코카콜라(500ml) 0.164kg, 아모레퍼식픽 샴푸(820ml) 0.484, 풀무원 유기농포장두부 0.279kg, 웅진코웨이 냉정수기 656kg, 리바트 장롱(10.5자) 958kg, 엘지 드럼세탁기 1655kg, 경동나비엔 가정용보일러 3만795kg 이상은 환경부가 밝힌 국내 대표적인 제품중 온실가스 베출량이다.

 

이들 회사의 경우 'CO2경영'을 제대로 하려면 지금의 수치보다 더 줄여야 살아남는다.

 

지금 우리 경제상황은 미국발 금융위기로 좀처럼 회복 기미를 보이지 않아 모든 국민의 생활을 어렵게 하고 있다.

 

정부는 대책으로 '녹색성장을 통한 저탄소사회 구현'이라는 방안을 내놓았다.

 

특히 정부가 얼마전에 공개한 ‘저탄소 녹색성장기본법’제정안엔 '서머타임제' 조기 도입안이 포함돼 주목된다.

 

서머타임은 해가 일찍 뜨는 여름철에 하루 일과를 빨리 시작하고 마감할 수  있도록 표준시간을 1시간 앞당기는 제도다. 이렇게 정부가 서머타임 카드를 다시 꺼내 든 이유는 무엇보다 서머타임제가 국민의 라이프스타일을 '저탄소 사회'로 바꾸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는 판단에서다.

 

부연하자면 서머타임제가 경제적 효과, 에너지 절약효과, 일자리 창출효과 등 다양하지만 바로 그 중심에 탄소라벨링(상품 서비스의 생산 사용에서 배출되는 온실가스량을 표기토록 하는 제도)이 자리하고 있다.

 

즉 탄소발자국이라는 말의 어원이 공룡뼈 발굴로부터 나왔다는 의견도 있다. 발굴된 공룡이 살았던 시기를 측정하기 위해 방사선 동위원소를 활용하고 탄소 흔적을 근거로 삼기 때문이다.

 

탄소라벨링은 영국에서 먼저 제도적 체계를 잡았다. 탄소라벨링은 각 제품이 생산되기 까지 발생한 탄소를 제품 포장지 앞면에 표기하는 것을 뜻한다.

 

우리 정부는 지난해 8월부터 탄소 관련 제도를 점진적으로 도입하기 시작했다.

 

기업들은 'CO2경영(탄소감축경영)'을 통해 장기적으로 생산비용을 줄이는 동시에 환경 친화적인 소비자의 시선을 끌고 있다. 일부기업은 이미 청정개발체제(CDM) 사업에 뛰어들었다. 이 사업은 개발도상국에 투자해 얻은 온실가스 감축분을 온실가스 감축실적에 반영할 수 있게 한 것으로, 확보한 탄소 배출권을 시장에서 거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도 탄소라벨링은 규제보다는 저탄소 제품 패러다임으로의 전환을 촉진해 시장친화적으로 탄소배출을 감축시키는 효과를 나타낸다.

 

국내에서는 올해부터 시범적으로 10개 제품에 대해 실시하고 있다. 탄소라벨링제도가 현실적으로 성과를 나타내기 위해서는 탄소라벨링 제품 및 저탄소제품을 소비자들이 적극적으로 구매하는 저탄소제품 소비문화가 확산돼야 하며 이를 촉진하기 위해 경제적 인센티브가 제공되고 다양한 방식의 홍보가 추진될 필요가 있다.
 
선진국들은 공산품 못지않게 농수산식품 분야의 탄소라벨링을 훨씬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우리 먹거리에도 탄소라벨링을 하게 되면 제품이 상대적으로 온실가스 배출량이 적기 때문에 농수산식품의 소비촉진에 기여할 수 있는 부수적인 효과도 발생하기 때문이다.  즉 농산물 재배, 가공식품 생산, 유통 및 폐기 전과정에 대한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정해 농수산식품의 안정성과 환경성에 대한 종합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는 얘기다.

 

한 농업 연구기관이 발간한 ‘탄소라벨링 시대의 도래:농수산식품 분야의 경우’ 보고서에는 이력추적관리제 원산지표시제 친환경농산물인증 우수농산물인증 등 기존의 농산물 인증제도는 원료재배, 제품생산, 수송, 유통, 폐기 등 농산물 및 가공식품의 전과정에 대한 안정성 및 환경성 관련 정보 제공에 미흡하다고 지적한 바 있다.

 

이 보고서는 탄소라벨링은 푸드마일리지가 제공하는 수송 부문은 물론 농산물 재배, 가공식품 생산, 유통 및 폐기 전과정에 대한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정해 농수산식품의 안정성과 환경성에 대한 종합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는 주장이다.

 

또 농수산식품에 탄소라벨링을 하게되면 국내 제품이 상대적으로 온실가스 배출량이 적기 때문에 국내산 농수산식품의 소비촉진에 기여할 수 있는 부수적인 효과도 발생할 수 있다.

 

이처럼 앞으로 탄소 감축 노력이 기업을 평가하는 잣대가 될 것이고, 친환경 경영은 기업의 직접적인 이익으로 이어질 것이다. 우리기업도 'CO2 경영'에 적극적으로 관심을 가져야 할 때이다. 

 

이명박 정부의 녹색성장에 4년간 50조원이 투입한다. 녹색성장 목표를 위해 정부부처는 물론 전국기초지자체 그리고 중소기업에 이르기 까지 탄소배출량 억제 정책에 적극 동참하고 있다.
 
가전제품의 탄소배출량 억제를 놓고만 보더라도 'CO2경영'이 기업의 생존까지도 좌지우지하는 시대에 직면됐다.

 

그러나 항간에는 탄소라벨링제 도입제를 놓고 부처간 이견을 좁히지 못하고 있다. 기업들은 'CO2경영'에 매우 적극적인데 정부부처는 밥그릇 싸움을 하는 격이 돼 자칫 고래등 싸움에 애꿎은 기업들만 새우등 터지는 꼴이 되지 않을 까 우려된다.

 

기업의 경쟁력과 글로벌 시장에서 우위를 차지하려면 기업경영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정부의 발빠른 행보가 필요하다.

 

녹색성장 전략을 성과가 금방 나타나는 100미터 달리기 시합으로 다루면 안된다. 모든 부처가 한 방향으로 움직여도 부족한 시간들이다.

 

기업주들에게 말로만 'CO2경영'의 지침을 내려선 안된다. 정책과 사업의 결정 과정은 효과와 효율성을 놓고 논쟁을 벌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서머타임제 도입도 곧 더워지는 시기에 앞서 하루 속히 결정해야 'CO2경영'에 일조할 수 있다.

저작권자 © 이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