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중 협력채널 구축이 관건…美ㆍ中 견제해야

'2001~2005년까지 5년간 중동지역으로 1조5000억달러 오일머니 유입'

과거 세계 최대 석유생산지역으로 명성을 떨친 중동이 최근 '제2의 검은진주 시대'를 예고하는 대표적인 표현이다. 이처럼 2000년대 들어 고유가 행진이 이어지면서 오일머니가 중동으로 몰리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중동지역 경제가 살아나면서 미국, 유럽연합(EU), 중국 등 세계 각국이 앞다퉈 중동진출을 서두르는 배경이다.

우리나라도 지난 5월 노무현 대통령의 아랍에미리트연합(UAE) 방문을 계기로 중동지역과의 경협증진을 위한 종합대책 마련을 추진하는 등 분주한 모습이다. 지난 12일엔 '중동지역 진출 종합 대책'까지 확정하고 중동지역에 유입된 오일머니 확보전에 본격 가담했다. 또 정부는 외교·경제·문화 등을 포괄하는 외교·경협기반, 무역·투자, 자원·에너지, 건설·플랜트, 과학기술·정보통신, 문화·관광 등 6개 분야의 패키지형 전략 추진하면서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한다는 방침이다.


특히 자원·에너지 분야는 사우디·오만·카타르·쿠웨이트·UAE 등과 협력채널을 구축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 국가별 매년 1회 이상 자원협력위원화와 석유공동위원회 등을 개최키로 했다. 또 석유·액화천연가스(LNG) 등 주요 에너지원에 대한 에너지안보 협력도 강화할 예정이다.


이에 따라 정부는 쿠웨이트 및 UAE와 올 하반기 협의를 마무리하고 내년부터 석유공동비축사업을 본격 추진한다. 또 사우디 등과도 관련 양해각서(MOU)를 체결할 계획이다.
산업자원부 관계자는 "국제 석유공동비축사업의 확대뿐만 아니라 LNG 등 에너지의 일시적인 스팟물량을 우리나라에 우선 공급하는 협조체제를 구축해 에너지수급불안을 해소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자원개발·플랜트·관련 사업'과 같은 에너지·인프라산업(전력·가스 및 플랜트) 연계모델을 IT, 조선, 철강, 의료, 문화 등 다른 관련 산업으로 확대하는 한편 우리가 경쟁력을 보유한 발전, 송배전 등 분야 협력 활성화를 통해 중동진출을 모색한다는 계획이다.

산자부 관계자는 "1호 유전개발펀드 출시로 2000억원 규모의 펀드를 조성하고 석유공사법을 개정해 자원개발 전문기업을 육성할 예정"이라며 "자원개발 아카데미에서 전문인력을 육성하는 등 우리나라의 해외자원 개발 역량을 확충하는데도 노력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미국과 유럽뿐만 아니라 중국의 견제를 받아야 하는 만큼 쉽지 않다는 지적이다. 미국 등 주요국들의 중동진출이 우리보다 한 발 앞서고 있기 때문이다.


현재 미국은 2013년까지 중동국가들과 자유무역협정(FTA) 체결을 목적으로 하는 '중동FTA정책'을 추진 중이다. 또 유럽연합은 'EU-지중해 이니셔티브'에 따라 2010년까지 양 지역을 자유무역지대로 만든다는 계획뿐만 아니라  걸프협력회의(GCC)지역과도 지난 1988년 체결한 '기본협력협정'에 따라 FTA체결을 추진하고 있다.
중국도 범세계적인 화교 네트워크를 활용해 걸프지역 상권을 빠르게 잠식하는 등 석유확보 차원의 진출이 두드러진다. 중국은 지난 2004년 7월 GCC와 FTA체결을 추진하기로 합의한 바 있다.


산자부 관계자는 "국무조정실을 중심으로 관계부처 및 유관기관이 참여해 '중동지역 진출 지원 테스크포스팀'을 구성하고 대책을 마련하기 위한 기본계획과 방향을 논의해 왔다"며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이 구체적인 협력사업 발굴지원을 위한 연구용역을 수행하는 등 그 동안의 추진 성과를 바탕으로 진출계획을 마련했다"고 말했다.

특히 "우리나라가 소비하는 원유의 80%, LNG의 50%를 의존하고 있는 중동지역은 다운스트림 분야 석유산업 및 전력, 신재생에너지 등에 대한 기술기반이 취약하다"며 "포스트 오일 시대에 대비한 경제다각화 노력 등의 경제발전전략을 추진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고실업률, 테러위헙 등 중동지역에 내재한 사회불안요인, 강한 서구선호사상, 이슬람 및 중동 전문가와 현지정보 부족 등이 우리나라의 중동진출을 위협하는 요인이다.

저작권자 © 이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