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수구 서울산업대 교수 "하수슬러지 자원화해 CDM사업과 연계" 주장

하수슬러지의 자원화 기술을 개발하고 이를 사업화하는 방안에 주목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돼 주목을 끌고 있다.

이수구 서울산업대 환경공학과 교수(폐기물학회장)는 최근 열린 세미나에서 “하수슬러지는 발열량이 높고 중랑, 탄천, 서남, 난지 등 서울시내 4개 하수처리장 규모만 해도 세계 최대 수준”이라며 “여기서 나오는 하수슬러지를 자원화해 CDM사업과 연계 활용하는 방안 마련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이 교수는 “그냥 버려질 뿐만 아니라 환경문제까지 야기하던 하수슬러지를 이용해 발전을 하고 기후변화협약에 의한 ‘탄소배출권’으로 경제적 이득까지 획득한다면 자원독립과 에너지절약, 경제적 이익까지 챙기는 일거양득의 효과”라고 주장했다.   
 
특허청 자료에 따르면 최근 하수슬러지 등 바이오매스와 관련 기술개발 및 특허출원이 급증하고 있다.

바이오매스 관련한 특허출원은 지난 1995년부터 올 6월까지 모두 301건에 달하며, 지난 2000년 이전에 30건 내외에 머물던 것이 점차 증가, 2007년부터 급격히 늘어났다. 3년 단위로 보면 2001~2003년에 43건, 2004~2006년에 55건이던 것이 2007~2009년 6월에는 173건에 달한다. 특히 올해 상반기에만 44건이 출원되는 등 최근 들어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이 가운데 내국인 출원점유율은 약 70%, 외국인 약 30%로 내국인의 특허출원이 활발하다.

출원 분야별로는 ▲‘미생물 또는 효소’ 관련 기술이 54% ▲‘일산화탄소를 함유한 공업가스(연료)분야’가 24% ▲‘물리적 또는 화학적 방법을 통한 처리분야’가 22%다.

이중 하수처리와 관련된 분야는 ‘물리적 또는 화학적 방법을 통한 처리분야’로 특히 폐수처리 플랜트에서 나오는 바이오가스를 정제하는 기술분야의 발전이 활발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허청 관계자는 “하수처리 기술분야의 경우 폐기물 처리 분야로 분류되기도 하기 때문에 그 부분까지 합산할 경우 그 숫자는 더 많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이 교수는 그러나 “2011년까지 유예기간을 두었지만 하수슬러지 처리에 대한 연료화 시설 공사 등 미리 추진돼야 할 준비과정과 적극적인 CDM사업 연계방안은 뚜렷하게 마련되지 않은 상태”라고 주장했다.

환경부와 지자체 차원의 하수슬러지 처리사업이 각각 추진되고 있으나 400억원이 투입된 수도권매립지공사의 하수슬러지 고화처리시설은 기술 안정화 등의 문제로 준공 6개월이 지나도록 정상 가동이 되지 않고 있으며, 대전시의 경우 열처리형 하수슬러지처리장 건설을 둘러싸고 주민들과 갈등을 빚고 있다.

한편 하수슬러지란 하수처리장에서 생활폐수를 정화하면서 발생하는 찌꺼기(미생물 덩어리)다. 이 슬러지들은 국내에서 현재 별다른 처리과정 없이 70% 이상 바다에 버려지고 있는 실정이다.

환경부 조사에 의하면 지난 2007년 말 기준 전국 350여개소의 공공하수처리시설에서 하루 평균 7631톤의 하수슬러지가 발생했다. 또 오는 2011년에는 공공하수처리시설 신·증설 등으로 하루 약 1만259톤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국내에서는 지난 2003년 7월부터 하수슬러지의 육상 매립이 금지된 후 처리비용이 저렴한 해양투기방식으로 대부분의 처리되고 있다.

이마저 런던국제협약에 따라 각종 폐기물의 해양배출기준이 국제적으로 강화되고 국제적인 비난여론이 거세지자 우리나라도 오는 2011년부터 하수슬러지의 해양투기를 전격 금지하는 방침을 밝혔다.

 

저작권자 © 이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