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ㆍ학ㆍ연 협동 연구 양해각서 체결

[이투뉴스 음지호 기자] 대한석탄공사가 획기적인 생산성 향상과 작업환경 개선을 위해 ‘채탄용 로봇개발’이라는 야심찬 계획의 첫발을 내디뎠다. 

대한석탄공사(사장 조관일)는 그동안 T/F팀을 가동, 공사의 경영혁신을 위한 아이디어를 검토해 로봇 개발과 사업화를 위한 협의를 관련 기관 및 기업들과 계속해왔다.

왼쪽부터 강계두 이사장(대덕연구개발특구 지원본부), 이상천 원장(한국연구개발 기계연구원), 이영지 이사장( 하이드로매틱스), 조관일 사장(대한석탄공사)이 현재 개발중인 채탄용 로봇을 둘러보고 있다.

 

이 결과 로봇관련 기술력이 뛰어난 한국기계연구원, (주)하이드로메틱스, (주)이젠크리쳐, 한국과학기술원(KAIST) 산학협력단,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등과 '지능형 자원개발 로봇' 을 공동으로 개발키로 했다. 

이에 따라 학술기관을 제외한 대한석탄공사, 대덕연구개발특구지원본부, 한국기계연구원, (주)하이드로메틱스 등 4개 기관은 24일 대덕연구개발특구지원본부에서 공동 양해각서(MOU)를 체결한다.

현재 석탄이 생산되는 막장은 출입구에서 지하로 2~7km를 들어가야 하므로 1일 작업시간이 4~5시간에 불과하며 채굴이 진전될수록 점점 더 심부화(深部化)가 됨으로써 생산성이 낮을 수밖에 없다.

석탄공사는 이를 근본적으로 해결하는 것은 로봇밖에 없다는 조관일 사장의 아이디어로 채탄로봇을 개발하기로 하고 KAIST 등 전문가에게 자문을 구한 결과 경제성 및 개발효과가 충분하다는 판단 하에 공동개발을 추진하는 것이다.

 

조 사장은 “로봇개발은 단순히 채탄용에 머물지 않고 지하자원을 개발하는 ‘극한환경용 원격조정 로봇’ 등 산업전문 서비스 로봇 개발의 좋은 계기가 될 것으로 생각한다”며 “그 원천기술의 적용범위는 매우 넓다”고 말했다. 또한 로봇개발이 현실화되면 탄광의 개념이 바뀌고 흑자운영의 모범공기업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로봇개발은 3년에 걸쳐 30억원 정도의 예산이 소요될 것으로 보이며 개발이 완료돼 현장배치가 되면 생산성이 30% 정도 높아지고 수지 개선 효과도 연간 250억~400억원에 이를 것으로 분석된다.

<ⓒ이투뉴스 - 글로벌 녹색성장 미디어, 빠르고 알찬 에너지·경제·자원·환경 뉴스>  
저작권자 © 이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