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하수슬러지 관리를 위한 토론회서 김동욱 공주대 교수 제시

▲ 경기도 과천에 있는 한국수자원공사 수도권지역본부 대강당에서  '하수슬러지 관리를 위한 토론회'가 열렸다.

[이투뉴스 이혜린 기자] 2011년부터 해양투기가 전격 금지되는 하수슬러지 관리에 대해 하수처리장 내에서부터 슬러지의 발생 단계에 따라 처리방법을 달리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또 슬러지의 자원화를 적극 활용하되 슬러지 내의 병원균 등 안전성에 대한 한계치를 확보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왔다.  

환경부가 지난 29일 관계 및 학계, 산업계 등 다양한 계층의 의견 수렴과 정보교환을 위해 마련한 ‘하수슬러지 관리를 위한 토론회’에서 김동욱 공주대 교수는 “하수슬러지는 공정별, 단계별로 다른 성상의 슬러지가 발생하기 때문에 이것을 한데 모아 처리하는 것보다는 단계별로 처리하는 방법이 효율성과 경제성을 제고하는 방안일 것”이라고 말했다.

김 교수는 이를 위해 “초음파, 기계파쇄, 열가수분해 등 다양한 처리방법에 의해 슬러지 감량화 기술을 도입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또 “국내 하수처리기술은 세계 최우수 수준이지만 하수슬러지 처리와 자원화로 이어지지 못해 해외 수출이 이뤄지지 못하고 있다”며 “이 부분에 대한 지속적인 R&D투자로 기술개발을 수출할 수 있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이종연 환경관리공단 팀장은 선진국의 하수슬러지 처리 최근동향을 발표하며 “하수슬러지의 발생량은 하수도보급률 증가에 따라 점점 더 늘어날 수밖에 없다”며 “우리도 2015년까지 하수도 보급 95%를 목표로 하고 있는데 이에 따른 하수슬러지를 전면 육상처리하기 위한 다양한 재활용방안이 강구된다”고 말했다.

이 팀장은 “현재 고형연료화된 하수슬러지는 저품질 석탄 수준의 발열량을 보유하고 있다”며 “이를 이용해 바이오매스로 자원화하는 것이 국제적인 추세”라고 설명했다.

그는 또 “광대한 농토를 이용해 주로 퇴비 등 토양살포를 선호하던 유럽 일부 국가들은 최근 들어 이마저 금지하는 법안들을 추진 중”이라며 “유럽(EU)은 하수슬러지의 중금속 허용 한계가 엄격하고 프랑스나 이탈리아, 룩셈부르크 등 일부 국가에서는 병원균의 한계치까지 설정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특히 일본의 경우 'LOTUS'라는 하수슬러지 프로젝트에 따라 지난 2004년부터 10개 기술을 선정하고 2010년까지 연구개발에 주력하고 있다.

일본은 하수슬러지 도자기 타일 및 비료 부문을 공공공사 조달품목으로 지정하고 있으며 “최근 들어 하수슬러지의 건조·탄화 등 다양한 연료화를 추진하고 있는 상황”이라는 게 이 팀장의 설명이다.

일본은 이 밖에 자원순환형 하수처리장의 개념을 도입, 운영하고 있다고 이 팀장은 밝혔다.

이 팀장은 “우리는 하수슬러지의 이용에 있어 안전성 부문에 미흡한 것이 사실”이라며 “슬러지를 수용하는 환경적인 방법과 안전을 최우선으로 검토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환경부는 하수슬러지 처리공법에 대한 가이드라인 제시, 정기적인 기술진단 실시 등 종합관리시스템을 구축해 올해 말까지 하수슬러지관리 종합대책을 수립 발표하겠다는 계획이다.  또 이날 중랑물재생센터, 김해시 하수과, 수도권매립지공사, 고성군 상하수도사업소의 하수슬러지 처리방안 사례 발표도 진행됐다.

<ⓒ이투뉴스 - 글로벌 녹색성장 미디어, 빠르고 알찬 에너지·경제·자원·환경 뉴스>  
저작권자 © 이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