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성조 환경운동연합 팀장 "인식에서 그치지 말고 행동해야 할 때"

[이투뉴스 전빛이라 기자] "기후변화 대응에 대한 일반 시민들의 인식지수는 높지만 행동지수는 매우 낮습니다. 이젠 실천해야 할 때입니다"

서울 종로구 누하동에 위치한 환경운동연합 에너지기후팀의 이성조 팀장에게 현재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우리의 자세에 대해 물었다.

▲ 환경운동연합 에너지기후팀의 이성조 팀장. 옆에는 우리나라 온도를 1.5도 줄이자는 캠페인의 일환으로 제작된 티셔츠가 걸려 있다.


"기후변화란 신종플루나 광우병처럼 눈앞에 닥친 게 아니기 때문에 시민들은 촛불시위처럼 즉각적인 반응을 보이지 않습니다. 사실 그렇게 되면 이미 늦은거죠." 이 팀장의 간단명료한 대답이다.

환경운동연합은 2007년부터 기후변화에 관심을 가지고 인식증진 사업에 치중하다 현재는 시민과 기업이 인식을 넘어 적극적으로 행동할 수 있게끔 탄소고백 캠페인, 대안에너지 시나리오 작성 등 기업과 시민들이 실천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모색하고 있다.

하지만 생각보다 낮은 참여율 때문에 고민이라며 이 팀장은 말을 이었다.

"탄소고백 캠페인 같은 경우는 정부에서 시행하는 탄소마일리지와 비슷한 방법으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차이가 있다면 인센티브의 유무죠."

실제 정부에서 시행하는 탄소마일리지는 개인의 동의가 있으면 구청으로 탄소배출 정보가 자동적으로 들어가 적립된 마일리지를 쿠폰으로 교환하는 등의 혜택을 주지만, 환경운동연합은 후원금으로 운영되는 시민단체인 만큼 다른 인센티브가 없어 시민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할 동기가 부족하다는 것이다.

이 팀장은 "그렇지만 인센티브가 있는 탄소마일리지 제도 역시 참여율이 낮다"며 "개인이 탄소를 얼마큼 배출하고 얼마큼 줄이는지에 대해 신경쓰는 것은 실제로 조금 귀찮은 일이 될 수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사람들이 기후변화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지 잘 알고 있지만 행동으로 옮기는 것은 어려워한다는 설명이다.

환경단체인 만큼 탄소배출권 구입의 부담을 가지고 있는 기업들과의 마찰에 대해 묻자 이 팀장은 "정부의 배출감축 시나리오 중 쟁점은 기준연도냐 배출전망치인 BAU냐의 줄다리기가 팽팽하다"며 "많은 변수가 있으니까아무래도 기업은 10년 뒤 예측인 BAU를 선호할 것"이라고 답했다.

환경운동연합에 따르면 정부나 교토의정서, NGO는 모두 BAU로 해야 한다는 입장이고 기업들은 시나리오 1안도 어렵다고 하는 형편이라 환경운동연합은 최근 '눈앞의 이익을 위해 미래 우리의 이익을 포기하는 것은 안된다'는 주제의 공동성명서를 냈다.

이 팀장은 "우리나라는 개도국이라고 할 수 없는 상황이므로 선진국과는 약간 차별되게 좀 더 강한 목표를 선택할 수 있는 중간적 역할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현재 우리나라가 의무감축국에 포함되지 않은 것이 아니라 1992년 기후협약 당시 우리나라는 OECD에 포함되지 않았기 때문에 제외된 것"이라며 자발적 시장의 활성화가 절실하다고 주장했다.

그는 마지막으로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국가와 기업, 시민이 유기적으로 도와야 한다"며 "시민들이 이산화탄소를 적게 배출하는 물건을 추구한다면 기업들도 자연히 그런 물건을 만들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투뉴스 - 글로벌 녹색성장 미디어, 빠르고 알찬 에너지·경제·자원·환경 뉴스>  
저작권자 © 이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