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투뉴스 장효정 기자] 정부가 스마트그리드 로드맵을 최종 확정하고 연내 스마트그리드 특별법 조성 계획을 발표했다. 지난해 2월 세계 최초로 국가단위 스마트그리드 구축 계획을 발표한 이후 11개월 만이다.

스마트그리드는 그동안 한전이 독점한 전력을 소비자가 살 수도 팔 수도 있는 양방향 전력 시스템이다.

이 시스템이 구축될 경우 100% 전기로만 가동하는 자동차가 나오고 가격에 따라 알아서 켜지고 꺼지는 세탁기, 냉장고 등이 출시된다. 또 주식 투자처럼 전기도 쌀 때 샀다가 비쌀 때 팔 수도 있다. 전기가 ‘거래의 대상’이 되는 것이다.

이번에 발표된 스마트그리드 로드맵은 20년간 모두 27조5000억원을 투자해 국가 단위 지능형 전력망을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그러나 발표된 로드맵은 지난해 12월 2차 로드맵 공청회를 통해 발표한 안과 별반 차이가 없다. 업계에서는 2차 로드맵 안을 최종 로드맵으로 여겨 기술개발 계획을 짜기도 했다. 더불어 문제점도 지적됐다.

스마트그리드에서 가장 중요한 자발적 투자에 대한 구체적인 대안이 없다는 게 가장 큰 문제다. 국가단위 스마트그리드 구축에 필요한 27조5000억원 가운데 민간이 25조원 가량을 자발적으로 투자해야 하지만 이에 대한 구체적 계획이 발표되지 않았다.

또 장기 로드맵이라 시시각각 업체의 의견을 반영하기 어려울 것이라는 지적도 있다. 스마트그리드는 민간 투자와 기술이 성공을 좌우하는 만큼 민간 업체와의 대화가 많아야 한다. 하지만 장기 로드맵은 20년간의 로드맵인 만큼 빠르게 발전하는 기술에 반영하기 어렵다는 지적이다.

특히 사이버 테러에 대한 위험을 감수해야 한다는 점도 문제다. 현재 스마트그리드에 적용될 보안체계는 ▶송ㆍ배전 보호 ▶AMIㆍ서비스 보안 ▶스마트그리드 보안 관제 기술 ▶보안기반 기술 ▶보안 표준 및 보안 인증 등이 있다.

업계 관계자는 "아직 스마트그리드 보안 시장이 활발하지 않고 마련된 보안 시스템도 구체화할 필요가 있다. 관련 법 제도가 빨리 구축돼 시장의 혼란을 막아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우리나라는 세계 최초의 국가단위 스마트그리드를 목표하고 있다. 세계의 눈과 귀가 제주 실증단지를 주목하고 우리나라의 성공 여부를 판단하고 있다. 정부는 눈과 귀를 열어 빠르고 정확한 대응으로 성공적인 결과를 이끌어내야 할 것이다.

<ⓒ이투뉴스 - 글로벌 녹색성장 미디어, 빠르고 알찬 에너지·경제·자원·환경 뉴스>  
저작권자 © 이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