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투뉴스] 에너지·자원 공기업 세계에서도 약육강식이 존재하는 것일까. 덩치가 크면 클수록 생존력과 지배력도 큰 게 사실일까.

유연탄 실수요기업인 한국전력공사는 최근 매장량 4억2000만톤의 호주 바이롱 유연탄광산을 4190억원에 인수해 사상 첫 지분 100%인수라는 성과를 이뤘다.

그동안 한전은 한국컨소시움을 구성할 때 지분참여만 했다. 그러나 이번엔 100% 인수를 시도해 이를 성사시켰다. 

이번 계약으로 한전은 2016년부터 30년간 평균 750만톤의 유연탄을 생산하게 된다.

하지만 이를 지켜보는 또다른 공기업 광물공사는 박수를 보내면서도 마음이 마냥 좋아보이지는 않는다. 쉽게 얘기하면 해외자원개발은 광물공사의 고유업무인 탓이다.

광물공사 관계자에 따르면 해외자원개발은 정부지원금이나 예산 규모와 상관없이 그들만의 전문적인 데이터 분석시스템과 기술력을 갖고 개척해야 한다.  

더욱이 해외자원개발사업 추진은 까다롭고 법적조항이 복잡하다. 자원개발 대상 국가의 정부를 상대해야 하고 현지 지역민과의 관계, 주변환경, 광산에 대한 법제적 문제까지 해결해야 한다.

그만큼 신경 쓸 일이 많고 현지화된 노하우가 필요하다고 한다. 해외자원개발만큼은 그런 속사정까지 속속들이 잘아는 광물공사가 맡아야 한다고 그들이 주장하는 이유다.

익명을 요구한 광물공사 관계자는 "한전은 광산인수 후 광산개발의 신속성과 운영 효율성을 확보하기 위해 코카투사를 광산 운영사로 참여토록 한 것으로 아는데, 왜 100% 인수하고도 굳이 해외기업을 현지 운영사로 두는건지 모르겠다"고 볼멘소리를 냈다.

그는 "한전은 그동안 주로 컨소시움을 구성해 지분에 참여하는 전략을 구사했는데 탐사, 개발, 생산과정에서 전문적인 면모를 보여줄지도 미지수"라고 덧붙였다.

또 다른 관계자는 공기업의 '부익부 빈익빈'에 빗대 이번 사업을 꼬집었다.

이 관계자는 "예산의 차이가 곧 실적의 차이로 연결 되고, 덩치가 큰 공기업을 대하는 정부의 입김 또한 예전만 못한것 같다"며 "한전의 경우 유일하게 공공기관 평가에서 'S'등급을 받았고 자금도 넉넉한데 무슨 사업인들 못하겠냐"고 말끝을 흐렸다.

하지만 정부의 시각은 다른 것 같다. 이번 한전의 유연탄 광산 인수를 두고 "오히려 광물공사가 희유금속 부분에 집중하기 쉽게 부담을 줄여준 것 아니냐"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

제 몫을 빼앗긴 듯한 심정에 씁쓸한 광물공사도 격려할 겸 정부 차원의 입장정리가 필요한 듯 싶다.      

권영석 기자 ysk82@e2news.com

<ⓒ이투뉴스 - 글로벌 녹색성장 미디어, 빠르고 알찬 에너지·경제·자원·환경 뉴스>

<ⓒ모바일 이투뉴스 - 실시간·인기·포토뉴스 제공 m.e2news.com>

저작권자 © 이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