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nergy & People]한국가스공사 연구개발원 신재생환경팀 한정옥 박사

[이투뉴스] 정부는 올해부터 여름철 전력피크와 동고하저(冬高夏低)의 가스수요 패턴 문제 해결을 위해 보조금 지원, 공공기관 가스냉방기기 설치 의무화 등 가스냉방 보급확대 정책을 펴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기냉방에 가려져 침체된 가스냉방 시장은 좀처럼 살아날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요지부동인 가스냉방 시장을 두고 한국가스공사 연구개발원 한정옥 박사<사진>는 "가스냉방은 기기 단가와 초기 투자비, 운영비의 경제성이 떨어질 뿐 아니라 낮은 가격이 유지돼 온 전기요금에 비해 비싼 가스요금 등으로 경쟁력이 약하다"고 진단했다.

한 박사는 "2004~2005년까지 가스냉방 연구를 해오다가 잠시 다른 업무를 맡았고 지난해 말부터 다시 가스냉방 시장을 들여다보게 됐다"면서 "4~5년 전에 비해 시장 형편이 더 악화됐는데 전기냉방과 경쟁하며 업계가 생존해온 게 용하다"고 혀를 내둘렀다.

그는 "예전에는 가스 가격이 낮아 운전비가 적게 들었기 때문에 경쟁력이 있었지만 지금은 소비자가 가스냉방을 선택할 메리트(장점)가 없고 시장 자체가 활성화되지 않다보니 품질, 성능을 개선해도 효과가 없다"며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을 찾는 게 급선무"라고 지적했다.

전력거래소 통계자료에 의하면 지난해 여름철 냉방전력은 1만2777MW로 최대전력인 6만3212MW의 20% 수준이다. 이에 비해 냉방 사용전력량은 6856GWh로 총 사용전력량 20만5692GWh의 1.7% 수준밖에 되지 않는다.

이렇듯 전기냉방은 총 사용전력량 대비 사용량이 적은데도 전력피크를 유발하는 주범으로 안정적인 전력 공급을 위해 불필요한 발전시설 투자비용만 늘리는 셈이다.

한 박사는 "냉방의 대부분을 전기가 담당하고 있어 전력사업자가 냉방부하 감소를 위해 발전시설에 막대한 투자를 해야 하지만 투자 회수는 쉽지 않다"며 "때문에 다른 에너지원으로 대체해 나가는 것이 오히려 전력쪽에선 플러스가 되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가스냉방은 전기냉방에 비해 CO₂ 저감효과가 크고 1차 에너지원 소비효율면에서 30% 정도 경제적이기 때문에 국가 에너지 전략 차원에서도 중요한 에너지 수단"이라며 가스냉방 시장의 활성화를 위해 지속적인 정책지원이 필수라고 강조했다.

한 박사에 의하면 일본은 2008년 기준으로 가스냉방 보급용량이 1200만RT에 달하는데 이는 우리나라의 4배가 넘는 규모로 냉방시장에서 가스냉방 점유율이 23%를 웃돈다.

한 박사는 "일본도 가만히 앉아서 이 정도 성과를 달성한 것이 아니라 30년 이상 정책적인 지원을 지속해왔기 때문에 가능했던 것"이라며 "우리도 계획적인 목표를 설정해 장기적인 관점에서 보급을 확대해 나가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가스공사 연구개발원은 올해 말까지 가스냉방기기의 성능 및 효율 향상과 관련된 다양한 연구과제를 발굴하는 데 주력할 계획이다. 이후 내년부터는 기기업체 및 관련 연구기관 등이 함께 기술개발에 참여해 가스냉방 활성화에 일조한다는 방침이다.

한 박사는 "우리가 할 수 있는 부분은 요금제도 개선 등 보급여건을 조성하는 일보다는 가스냉방의 효율을 향상시키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라며 "성급하게 생각하면 오히려 역효과가 나기 때문에 차분하게 추진해 나가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김광균 기자 k9640@e2news.com

<ⓒ이투뉴스 - 글로벌 녹색성장 미디어, 빠르고 알찬 에너지·경제·자원·환경 뉴스>

<ⓒ모바일 이투뉴스 - 실시간·인기·포토뉴스 제공 m.e2news.com>

저작권자 © 이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