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정보 대동맥 환경산업기술정보시스템(코네틱) 운영
하루 평균 방문자 3만명, 녹색위 포털 정보 70% 제공

[이투뉴스] 환경산업 정보 2만여건, 하루 평균 이용자 2만9000명, 지난해 과학기술부 데이터베이스 품질 평가 3등.

국내·외 환경 정보를 총망라하고 있는 환경산업기술정보시스템(코네틱. www.konetic.or.kr)의 성적표다. 국가환경정보센터는 11년 동안 환경정보를 수집·관리해 코네틱을 알찬 사이트로 만들었다. 환경 기술·산업 정보만을 다뤘던 센터는 이제 해외 녹색성장정책, 환경인력, 친환경상품 등에 관한 각각의 정보망을 구축했다. 취임 석달을 맞은 김종선 국가환경정보센터장을 만나봤다.


국가환경정보센터가 있는 한국환경산업기술원 1층에 들어서자 왼쪽에 잠금장치가 설치된 유리문이 보였다. 비밀번호를 누르고 들어서자 긴 복도가 눈에 들어왔다. 복도를 들어가 몇 발자국 떼자 오른쪽에 또 다른 유리문이 나타났다.

유리문 안 사무실 정면 벽에는 'KEITI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이란 글자 아래 두 대의 큰 TV가 설치돼 있다. TV에는 그래프와 도표, 인터넷 사이트가 떠 있다. 그 앞에 직원 3~4명이 앉아 컴퓨터 모니터를 뚫어져라 보고 있다. 바로 환경산업기술정보시스템 운영자들이다.

사무실 왼쪽 방에는 서버실이 갖춰져 있다. 서버에서 나는 소음과 발생하는 열로 서버실 안 공기는 탁했다. 국내 환경정보 인프라의 산실인 국가환경정보센터의 심장부에 들어온 것이다.

센터는 1999년 한국환경공단 내 국가환경기술정보센터로 첫발을 내딛었다. 그해 6월 환경부 지정기관이 되면서 환경산업·시스템을 구축, 이듬해 4월 코네틱 사이트를 개설하고 정보제공 서비스를 시작했다. 2006년 지금의 한국환경산업기술원으로 둥지를 옮긴 뒤 지난해 국가환경정보센터로 이름을 바꿨다.

센터는 올해 코네틱을 포함해 28개 사업에 75억원의 사업비를 투자했다. 지난해에 비해 18억원이나 껑충 뛰었다. 김종선 센터장은 "시스템 구축과 관련한 장비를 사는 데만 해도 수십억원이 든다. 벌인 사업도 많고 사업비 자체가 그리 많은 편은 아니다"고 설명했다.

센터는 코네틱은 물론 환경연구정보시스템(DICER), 환경취업포털, 환경산업 해외통합정보망, 환경컨설팅정보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다. 특히 환경연구정보시스템은 약 4만5000건의 환경연구정보를 다루고 있으며 하루 평균 2000명의 사용자가 이용할 정도로, 환경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인기 있는 사이트다.

또 김 센터장은 조달청의 '나라장터' 사이트 구축에 참여한 경험을 살려 친환경상품정보시스템과의 연계 방안에 골몰하고 있다. 하지만 그는 "아무리 좋은 정보구축시스템을 갖춰도 콘텐츠가 부실하면 제대로 된 정보사이트의 역할을 하지 못 한다"고 강단 있는 어조로 말했다. 훌륭한 시스템 구축은 자금과 기술력, 인력 등만 갖고 할 수 있지만 콘텐츠의 양과 질이 충족되지 못하면 정보사이트로서의 제 구실을 할 수 없다는 설명이다.

현재 녹색성장위원회가 운영하는 녹색기술포털 사이트의 70%는 코네틱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정보로 이뤄져 있다. 지난해 8월부터 격주에 한번 제공되는 '해외녹색성장정책보고서(GGGP)'는 환경부, 녹색위 등 관련 전문가 3만8000여명이 받아보고 있다. 해외녹색성장정책보고서는 독일, 유럽 등 해외에 자료를 요청해 녹색기술·산업 전반에 걸친 포괄적인 정보를 제공한다.

이런 센터의 활약상은 "어떤 정보를 원하는 사용자에게 진짜 필요한 정보를 제공해야 한다"는 김 센터장의 철학이 고스란히 녹아있다.

최근 센터가 다루는 정보는 그 범위가 확장되고 있다. 대기, 수질, 폐기물 등 전통적인 환경정보는 물론 신재생에너지나 환경 유해물질 등과 같이 최신 트렌드를 반영하는 정보도 제공하고 있는 것. 그는 "정보 수요자 분석과 설문조사를 거쳐 사용자가 원하는 환경정보를 제공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센터는 내년부터 차세대 에코 이노베이션(EI) R&D 과제관리시스템 구축에 본격 착수하기로 했다. 기존에 사업별로 분산된 과제관리시스템을 하나로 통합하고, 전자 평가시스템을 개발해 전자 협약·추적 시스템을 운영할 계획이다.

김 센터장은 "정보 신뢰성 확보를 위해 ISO 20000(정보화) 인증을 받고, UN서비스상 공공서비스분야 수상을 받는 게 목표"라며 "국내에 안주할 건 아니다. 대한민국에 환경을 내세울만한 사이트를 만들어야 하지 않겠나"라고 반문하며 '환경정보의 글로벌화'라는 포부를 밝혔다.

김선애 기자 moosim@e2news.com

<ⓒ이투뉴스 - 글로벌 녹색성장 미디어, 빠르고 알찬 에너지·경제·자원·환경 뉴스>

<ⓒ모바일 이투뉴스 - 실시간·인기·포토뉴스 제공 m.e2news.com>

저작권자 © 이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