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융합에너지ㆍ신재생에너지 혼합형 정책

신재인 핵융합연구센터 소장(사진)은 미래 에너지 개발과 관련해 '칵테일(cocktail)정책'을 펴야한다고 주장했다.

 

최근 정부가 핵융합발전과 관련한 핵심 기술 개발을 본격적으로 추진한다는 계획을 발표한 것을 두고 신재생에너지사업이 크게 축소되는 게 아니냐는 우려에 대한 '신재인표 해법'이다.


신소장은 17일 본지와의 인터뷰에서 "신재생에너지 사업을 백지화하면서까지 핵융합에너지 사업을 강조하자는 게 아니다"라며 "핵융합발전에 생성된 에너지를 메인 에너지로 삼고, 신재생에너지는 도서지역 등에 소규모 에너지 필요한 지역에 공급하면 된다"고 설명했다.

 

핵융합발전은 핵분열에 의한 원자력발전과 달리 방사성 폐기물을 내보내지 않고 안정성이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 핵융합발전소의 연료인 중수소는 무한대로 사용해 거의 영구적으로 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소위 '인공태양'으로 불리기도 한다.

 

하지만 핵융합발전 사업에 대규모 투자와 상당 기간이 필요한 게 사실이다. 제4의 물질로 불리는 플라즈마를 일정 공간에 가둬두는 기술 등 과학적 어려움이 크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선택과 집중을 주장하는 측은 핵융합발전이 달갑지 않다.

 

아무리 핵융합발전이 미래 에너지로 각광받더라도 핵융합발전에 자금과 인력이 집중되면 그동안 추진한 신재생에너지 사업은 고사위기에 놓일 것이라는 우려다. 핵융합발전에 투입하는 막대한 돈과 시간을 정부가 집중 육성하는 신재생에너지 사업에 투자해야 효과적이라는 이론이 나오는 배경이다.

신재인 핵융합연구센터 소장은…
1942년 광주 출생
1977년 공학박사(미국 MIT)
1967~1972년 원자력청ㆍ원자력연구소 연구원
1977년 한국원자력기술(주) 핵공학부장
1991년 원자력환경관리센터 소장
1993년 한국원자력연구소 소장
1998년 한국원자력연구소 연구위원
2001년 한국원자력학회 회장
2003년 한국핵융합협의회 회장
2005년 핵융합연구센터 초대소장

올 국정감사에서 국회의원들도 미래 에너지 사업에 대해 선택과 집중을 강조하면서 '될 성싶은 떡잎'을 집중 개발하자고 강조했다. 성과가 없어 보이는 사업에 대한 예산을 대폭 축소할 수도 있다는 의미다.

 

이에 대해 신소장은 "효율성이 높은 사업에 집중 투자해 성과를 높이자는 의미의 '선택과 집중'식 방안은 자칫 흑백논리로 받아들여질 수 있다"면서 "핵융합발전과 신재생에너지사업이 잘 조화를 이뤄 시너지 효과를 내는 방안을 모색해볼 수 있다"고 제안했다.

 

우리나라가 추진하는 핵융합발전사업에 2030년까지 8380억원이 필요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대해 신소장은 "내년 후반기에 에특회계에서 일부 재원을 확보하고 11월 말 조세감면 등에 대해 부처 간 협의에 들어갈 예정"이라고 말했다. 핵융합발전의 상용화도 초미의 관심사다. 신소장은 "핵융합 실증용 발전소를 2030년 운영하는 것을 목표로 정했다"면서 "2040년이면 상용화도 가능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를 위해 향후 15년 내에 부족한 기술을 확보할 방침이다. 
 

저작권자 © 이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