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전5사 온실가스 감축 위해 전력…CCS, 배출권거래제 준비

[이투뉴스] 온실가스 다배출 기업으로 인식되고 있는 한국전력 산하 발전자회사 남동, 남부, 서부, 중부, 동서발전 등 화력발전 5사가 온실가스를 감축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을 모색중이다.

이들 기업은 내년부터 신재생에너지 의무할당제(RPS)를 비롯, 다양한 제도로 온실가스 배출에 대한 일종의 제약을 받게 된다. 이들 발전사의 온실가스 감축 정책 등을 짚어봤다.

◆온실가스 감축 제도= RPS제도는 온실가스 다배출기업인 발전자회사는 물론 민간 발전업체 등 14개 기업이 발전량에 비례하는 일정 전력을 신재생에너지 발전으로 생산토록 한 제도를 말한다.

이 제도는 2012년 최초 도입하며 의무비율은 ▶2012년 2.0% ▶2013년 2.5% ▶2015년 3.5% ▶2020년 8.0% ▶2022년 10%로 점차 늘어난다.

온실가스 감축 보조 수단으로 각광받고 있는 배출권거래제는 온실가스 1톤당의 값을 매겨 기업마다 온실가스 배출 할당량을 정해 배출권을 사고 팔수 있도록 한 제도를 말한다. 배출 할당량보다 많은 온실가스를 배출한 기업은 배출권을 사야하고 할당량보다 온실가스를 많이 감축한 기업은 줄인 양 만큼의 배출권을 팔아 돈으로 보상받을 수 있다.

에너지 목표관리제는 정부가 각 기관이나 기업 등 487개 업체에 대해 온실가스 배출량을 미리 정해주고 이를 초과하면 과태료를 부과하는 제도를 말한다.

▲(왼쪽부터)송기인 남부발전 녹색발전전략처 기후변화대책팀장, 김창현 서부발전 발전처 기후환경팀장, 어수헌 동서발전 발전그룹 녹색환경팀장, 임진규 남동발전 발전처 기후환경팀장, 한광수 중부발전 발전처 기후환경팀장.

◆RPS 이행=남동발전은 강원도와 서해안 일대에 955MW급 육상 및 해상풍력발전단지를 조성하고 남해안 일대에 510MW 규모의 조류발전단지를 구축할 계획이다.

임진규 남동발전 발전처 기후환경팀장은 “삼천포 및 영흥화력의 해양 소수력 7.9MW를 건설했으며 향후에는 대용량 전력 생산이 가능한 해상풍력과 조류발전단지, 연료전지 발전소를 건설하는데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중부발전은 폐기물 고형연료(RDF)를 활용한 발전사업에 주력하고 있다. 또 당진군 현대제철에 400MW급 부생가스 발전소 건설과 조력발전소 건설도 추진하고 있다.

한광수 중부발전 발전처 기후환경팀장은 “제주도 상명 풍력, 한림풍력, 유수암 풍력 등 각종 풍력단지 구축과 300MW급 강화조력 건설, 375MW 규모의 해상풍력발전단지 조성을 계획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풍력전문개발팀을 구축한 남부발전은 육상 및 해상풍력발전단지 조성에 주력하고 있다. 서성재 남부발전 풍력전문개발팀장은 “태백풍력발전단지를 시작으로 국산풍력 100기를 건설하고 향후에는 해상 자원을 이용한 해상 풍력발전단지 조성에 집중할 것”이라고 밝혔다.

서부발전은 가로림 조력발전소 건설을 중심으로 다양한 신재생에너지 발전소 건설을 추진하고 있다. 김창헌 서부발전 발전처 기후환경팀장은 “조력발전과 석탄가스화복합발전(IGCC) 등으로 RPS를 달성하고자 한다”고 설명했다.

어수헌 동서발전 발전그룹 녹색환경팀장은 “동서발전은 30MW바이오매스 전용 발전단지를 구축하는 등 단기적인 로드맵과 해상풍력이나 조력, 조류발전단지 개발 등 장기적인 로드맵을 설정해 RPS를 달성하고자 노력하고 있다”며 “강원도 정선 등에 20MW 규모의 풍력발전단지를 조성했다”고 말했다.

◆배출권거래제=배출권거래제에 가장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는 곳은 동서발전이다. 동서발전은 지난해 SK그룹과 동서발전 5개 사업소를 대상으로 배출권 모의거래를 시행하기도 했다.

어수헌 팀장은 “내년부터 선별적으로 CDM사업을 진행할 예정”이라며 “제도의 원활한 정착을 위해 배출권 시범거래 기간을 충분히 두고 국제 탄소시장의 동향에 맞춰야 할 것”이라고 조언했다.

남동발전은 삼천포 및 해양 소수력을 UN CDM사업으로 등록했다. 임진규 팀장은 “2008년부터 향후 10년간 모두 21만톤의 탄소배출권을 확보했으며 앞으로 영흥 국산풍력단지와 2단계 영흥화력 해양소수력 등 신규로 35만톤의 UN CDM 사업을 추가 등록하려고 계획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전의 5개 발전자회사 가운데 유일하게 국제적으로 판매가 가능한 탄소배출권 인증서(CER)를 확보하고 있는 중부발전도 다양한 UN CDM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한광수 팀장은 “지난해까지 모두 7만톤의 CER을 확보했으며 올해는 약 3만톤가량이 더 추가될 것으로 보인다”고 예측했다.

◆CCS=이산화탄소 포집 및 저장기술(CCS)은 발전소에서 배출되는 온실가스만을 따로 포집할 수 있다. 국내에서는 습식과 건식 두 종류로 나누어 시험연구하고 있으며 이 기술 연구에 가장 적극적인 기업은 남부발전이다.

남부발전은 CCS는 물론 이산화탄소를 포집해 땅이나 바다에 저장하지 않고 포집한 이산화탄소를 재이용하는 CCR 기술도 연구하고 있다.

송기인 남부발전 녹색발전처 기후변화대책팀장은 “CCR기술에 대해 독자적으로 상품을 출원하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온실가스를 활용할 계획이며 우선은 이산화탄소를 전기분해해 개미산을 제조하는 기술을 연구하고 있다”고 말했다.

현재 하동화력에서 10MW규모로 실증중인 CCS기술도 향후 국내 최대 규모로 건설되는 삼척그린파워 발전단지에 300MW급으로 늘려 설치할 계획이다.

중부발전은 남부발전과 달리 습식CCS기술 개발에 매진하고 있다. 한광수 팀장은 “온실가스를 직접적으로 포집 및 회수하는 CCS 연구에 매진하고 있으며 현재 보령화력에 0.1MW규모의 습식CCS 시험설비를 건설해 연구하고 있다”며 “내년에는 이산화탄소 제거 효율이 90% 이상이 되는 10MW급 CCS설비를 설치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온실가스 감축 효과=정부는 발전사들과 민간 기업 등 온실가스 다배출 기업을 대상으로 이 같은 온실가스 감축 정책을 펼치면 2008년 대비 2022년의 온실가스는 이산화탄소톤당 0.3686MWh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한국전기연구원 관계자는 “2008년 대비 2022년의 이산화탄소는 1.022배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2008년 대비 2022년의 단위배출은 이산화탄소톤당 0.0842MWh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며 “전력부문의 경우 2022년 기준으로 11.07%의 온실가스가 저감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장효정 기자 hyo@e2news.com

<ⓒ이투뉴스 - 글로벌 녹색성장 미디어, 빠르고 알찬 에너지·경제·자원·환경 뉴스>

<ⓒ모바일 이투뉴스 - 실시간·인기·포토뉴스 제공 m.e2news.com>

저작권자 © 이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