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뷰] 박종배 건국대 전기공학과 교수
"상시 수요관리 시장, 스마트그리드의 최우선 사업모델"

[이투뉴스] "전력 수요환경이 바뀌면서 수요 예측의 불확실성이 심화되고 있다. 전력피크에 대한 예측 가능성을 높이고 수요를 줄이기 위해서는 시장을 기반으로 한 수요관리 제도를 운영할 필요가 있다."

박종배 건국대 전기공학과 교수는 상시 수요관리 시장의 개념을 설명하며 제도 도입의 당위성을 강조했다.

박 교수는 "미국의 경우 민간 부하반응 사업자가 기관이나 업체의 수요패턴을 진단한 뒤 다양한 부하관리 상품을 제안하고 견적을 내주는 식의 사업이 활성화돼 있고 규모도 크다"며 "반면 우리나라는 상품이 제한적이고 시장 구조가 경직돼 있어 수요관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국내에서 운영 중인 부하관리 프로그램은 한국전력이 주관하는 지정기간 수요조정, 주간예고 수요조정과 전력거래소가 운영하는 수요자원시장 등이 있다.

이들 프로그램은 적용대상과 운영시기가 한정적일 뿐 아니라 인센티브 조건을 충족하기가 까다롭다는 단점이 있다. 보조금을 기반으로 하고 있는데다 규모도 600억원 내외 수준으로 작아 탄력적인 운영이 어렵다.

박 교수는 "무엇보다 시장 규모를 키워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사업구조도 다변화해 지금처럼 정부, 한전, 전력거래소, 소비자로 이어지는 톱다운 방식이 아니라 다양한 사업자가 참여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특히 스마트그리드의 최우선 비즈니스 모델로 떠오르고 있는 게 DR(부하관리) 시장"이라며 "DR 시장이 열리면 다양한 비즈니스 모델이 창출되겠지만 이게 막히면 연계사업들이 모호해질 개연성이 높다"고 말했다.

문제는 재원이다. 국내 부하관리 프로그램은 전력산업기반기금에 대한 의존도가 매우 높다. 박 교수는 기금에 의존하기보단 전력거래소 시장정산금, 전력회사 자체 자금, 요금제 개선 등을 통한 다양한 재원 확보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 교수는 "또한 시급한 건 상시 수요관리 시장 도입 논의를 위한 커뮤니티를 형성해야 한다는 것"이라며 "스마트그리드 사업자와 한전, 전력거래소 등 유관기관 및 학계 전문가를 포괄하는 협의체를 만들어 제도화를 위해 진지하게 논의해야 한다"고 밝혔다.

김광균 기자 kk9640@e2news.com

<ⓒ이투뉴스 - 글로벌 녹색성장 미디어, 빠르고 알찬 에너지·경제·자원·환경 뉴스>

<ⓒ모바일 이투뉴스 - 실시간·인기·포토뉴스 제공 m.e2news.com>

저작권자 © 이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