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집인터뷰] 조춘구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사장
"악취 반드시 해결, 환경관광명소로 만들 것"

[이투뉴스] 서울, 인천, 경기지역 주민 2300만명이 버린 생활쓰레기의 종착지는 행정구역상 인천 서구 검암동 수도권매립지다. 1980년부터 10여년간 서해 연안을 메워 만든 땅이다. 지금도 3개 광역시·도 58개 시·군이 하루 평균 1만6000여톤의 폐기물을 트럭에 실어 이곳에 쏟아붓고 있다.

대한민국 인구 절반이 공동사용하는 초대형 매립장인 셈이다. 전체 부지면적은 시설단지를 포함 1979만㎡. 명실공히 세계 최대다. 이곳을 다녀간 해외 관계자들도 "이런 매립지는 이전에도 없었고, 앞으로도 없을 것"이라고 입을 모은다.

현재 매립지는 환경부 산하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이하 '매립지공사')가 관리와 운영을 맡고 있다. 공사는 '세계 최대 매립지를 세계 최고 환경관광명소로 만들겠다'는 청사진을 제시하고 있다. 

실제 3년뒤 '인천아시안게임'의 일부 종목(승마·수영·골프)이 제 1매립장 위에서 열린다. 혐오시설이 국제 스포츠 축제의 장으로 변신할 날도 머지 않았다.

그런 매립지가 지금 중대기로에 서 있다. 1989년 매립지 조성 당시 포화시점을 추정해 설정한 이른바 매립연한 때문이다. 이 계획대로라면 매립지는 대체부지를 확보하고 2016년 문을 닫아야 한다.

하지만 속사정을 들여다보면 제고의 여지도 많다. 정부 폐기물종량제 도입과 감량정책, 음식물쓰레기 직매립금지, 에너지자원화(소각)와 매립기술 발전 등으로 최근 수년간 반입 폐기물량이 꾸준히 감소했다. 그만큼 매립장도 여유가 생겼다.

현 추세대로라면 2016년이면 전체 매립능력의 62%만 들어찬다. 매립지공사가 사회적 비용이 막대한 새 부지 확보 대신 나머지 38%를 2044년까지 연장해 쓰자는 이유다. 마땅한 대안이 없는 환경부와 서울시, 경기도 역시 뜻을 함께 하고 있다.

문제는 인천시다. 악취나 먼지에 시달려 온 인근 주민과 지자체가 이를 반길리 없다. 도심 확장에 따라 매립지 인근까지 들어선 신도시 주민들도 마찬가지다. 매립지를 2016년까지만 사용하고, 연장은 꿈도 꾸지 말라는 냉소적 반응 일색이다.

인천시는 2017년부터 더 이상 쓰레기를 받지 않겠다며 매립시설 건축 인·허가권 등을 동원해 사실상 매립연한 연장을 가로막고 있다. 이대로 평행선을 달리면 서울과 경기도는 물론 인천도 다가올 쓰레기 대란에서 자유롭지 않다.

지난 16일 오후 집무실에서 만난 조춘구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사장<사진>은 "갈등 때문에 매립장이 문을 닫을 판"이라며 조바심을 냈다. 오전부터 계속된 이해당사자 면담으로 목소리가 잠기고 끝이 갈라졌다. 앞서 지난 7월말 그는 이명박 정부 임명 기관장 가운데 드물게 재선임에 성공했다. 

각종 현안과 지역갈등을 해결할 적임자라는 이유에서다.

조 사장은 매립연한 연장을 놓고 기반시설 건축허가 불허로 맞서고 있는 인천시와 서구를 겨냥, "말이 3개 시·도의 문제이지, 실은 대한민국 국민 절반에 해당되는 중요한 문제"라며 "지자체도 정부 아닌가. 국익을 생각한다면 (반대는)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그는 매립연한 연장의 불가피성을 설파했다. 2015년으로 매립이 끝나는 지금의 제 2매립장에 이어 연내 반드시 제 3매립장 조성에 들어가야 쓰레기 대란을 피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 공사는 꼬박 4년이 걸린다고 한다. 하지만 인천시(서구)는 적법성 여부를 따져 공사를 중단시키고 있다.

조 사장은 이런 지역여론을 고충으로 인한 지역주민의 자연스런 반감과 지자체의 명분없는 대응으로 분리해 받아들이고 있었다. 즉, 지역주민의 이유있는 지적은 매립지공사가 경청하고 풀어야할 숙제이지만, 지방정부의 맹목적 반대는 국익을 앞세워 생각하지 않는 지역이기주의로 간주하고 있다. 

조 사장은 "악취로 고생하시는 지역주민의 마음은 충분히 이해하고 공감하며, 죄송스런 마음 뿐이다. 책임자로서 반드시 모든 수단을 동원해 빠른 시간 내에 이 문제를 해결할 것"이라며 "특히 매립지를 세계 최고 환경관광명소로 만들어 지역발전에 보탬이 되도록 하겠다는 약속은 틀림없이 지켜내겠다"고 역설했다.

반면 인·허가 불허에 나선 인천시를 향해서는 각을 세웠다. 조 사장은 "사실상 문을 닫으라는 얘긴데 이런 대체부지를 어디서 확보하겠나. 구한다 할지라도 누가 새 매립장을 용인하겠냐"면서 "조금만 더 신경쓰면 최고의 명소가 될 수 있는데 무조건 닫고 보라는 것은 무책임한 처사"라고 말했다.

그는 "이곳은 지자체 이해관계보다 국가적인 관점에서 관리되고 지속돼야 한다. 우리가 잘 사는 것도 중요하지만 다음 세대도 생각해야 하지 않나. 문제해결을 위한 제안을 하고 협력해야지, (악취)문제가 있다고 (대체부지를 확보하는)더 큰 문제를 만드는 것은 지방정부의 본분에 어긋나는 일"이라고도 했다.

사실 매립지 갈등은 중앙정부는 물론 서울-경기-인천-인천서구의 복잡한 이해관계와 산식이 얽힌 고난도 방정식이다. 소유권과 운영수익을 놓고도 3개 시·도의 셈법이 다르다. 쓰레기 발생지와 처리장소가 다른 근본적 문제도 안고 있다.

조 사장에게 해법을 물었다. 그는 "혐오스런 쓰레기매립장을 누구나 한번쯤 찾아오고 싶은 관광명소로 만드는 것이 우리의 목표"라면서 "이미 봄에는 야생화축제, 가을에는 국화축제로 50만명이 찾아오고 있다. '매립지속의 공원이 아니라 공원속의 매립지'로 패러다임을 바꿔 폐기물처리도 하나의 관광콘텐츠로 만들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제 3매립장 조성 등 매립연한 연장 갈등은 국익을 명분으로 정면돌파하겠다는 뜻을 내비쳤다.

그는 "당초 설치 계획으로 단순산정된 2016년에 매립을 종료하면 새 부지를 지금쯤 확보했어야 했다"며 "3개 시·도 자치단체, 지역주민의 입장을 충분히 듣고 원만한 조정을 통해 연내 차기매립장이 조성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조 사장은 매립지의 자랑거리 중 하나로 50MW 규모 세계 최대 매립가스 발전시설을 꼽았다. 매립가스 CDM사업을 통해 UN에서 발급받은 탄소배출권 규모를 숫자하나 틀리지 않고 꿰고 있었다. 쓰레기가 분해될 때 발생하는 매립가스는 악취의 주원인이기도하다.

매립지공사는 이 시설을 운영해 18만 가구가 사용할 수 있는 전력을 생산하고 연간 400억원 수익과 별도의 탄소배출권도 얻고 있다. 조 사장은 "폐기물은 더 이상 쓰레기가 아닌 또 하나의 자원"이라며 "매립지를 부득이 있어야할 시설로 인식했으면 한다"고 말했다. 

<인천=이상복 기자 lsb@e2news.com>

<ⓒ이투뉴스 - 글로벌 녹색성장 미디어, 빠르고 알찬 에너지·경제·자원·환경 뉴스>

<ⓒ모바일 이투뉴스 - 실시간·인기·포토뉴스 제공 m.e2news.com>

저작권자 © 이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