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환경공단 생태하천복원사업 현장] 전국 생태하천 비율 51%로 높일 계획
사후모니터링 위한 기법 개발해 지자체 보급키로

▲ 서울 양재천(우면동 구간)은 직강하된 하천을 사행화하고 수제, 여울·소, 비오톱 등으로 조성했다.

[이투뉴스] 하늘은 높고 바람은 시원한 가을이다. 더이상 열대야와 싸우지 않아도 된다. 저물녁 10분 거리에 있는 생태하천으로 발길을 옮겨본다.

한동안 큰 공사가 한창이더니 어느새 풀냄새 가득한 곳으로 변해있다. 도심 한가운데서 듣는 풀벌레 소리가 정겹다. 이미 하천 주변은 많은 사람들이 자연을 만끽하고 있다. 

손 꼭잡고 산책나온 금실 좋은 고령의 부부, 강아지와 함께 마실나온 다정한 가족, 자전거를 타며 데이트를 즐기는 풋풋한 커플 등 다양한 사람들이 갖가지 모습으로 저녁의 풍경을 채우고 있다.

▲ 안양 학의천은 콘크리트 호안 철거 및 직강화된 하천을 사행화한 후 식물을 심었다.

대한민국 주변 하천이 바뀌고 있다. 도심에서 친환경적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환경부도 팔을 걷어붙였다.  비단 도심뿐 아니라 시골의 하천, 농로 등을 가리지 않는다. 물, 생태계가 유지되는 곳은 모두 대상이 된다.

환경부는 인공구조물 설치 등으로 생태계, 수질이 훼손된 하천을 생태적으로 건강한 하천으로 복원해 국민들에게 생태 친수공간을 제공하는 '생태하천복원사업'을 추진중이다.

생태하천복원사업은 인공습지, 자연형 하천정화시설, 퇴적오니 준설, 수중 폭기, 식생대 조성 등 비점오염저감사업 등을 통해 하천의 수질을 개선하는 사업이다.

또 하천 사행화, 여울·소, 식물 식재, 수생생물 서식지 조성, 하중도·실개천 조성 등 수생태계를 복원해 환경 친화적인 주민 휴식공간을 조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한국환경공단은 이 가운데 생태하천복원사업을 위한 기본계획, 기본 및 실시설계, 변경계획에 제시된 공법의 적정성, 물량 및 내역의 정확성 등을 검토하는 업무를 맡고 있다.  

또 각 유역환경청과 공동으로 생태하천복원 신규사업 선정을 위한 현장조사를 하고 분기별 현장지도·점검을 수행한다. 생태하천복원사업의 효율적 추진과 정책지원을 목적으로 하는 관련 연구용역도 진행한다. 

▲ 청주시 무심천은 콘크리트 포장 및 주차장으로 이용하던 둔치부를 철거한 후 하천을 사행화하고 서식처를 복원했다.

공단 수생태시설처 생태하천복원기술지원센터의 최철호 차장은 "생태하천복원사업은 하천을 과거처럼 복원시키는 것이 아니라 하천 스스로 복원될 수 있도록 돕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생태하천복원사업을 위해서는 수질, 생태 등 종합적인 모니터링이 선행돼야 한다.

과거부터 현재까지의 수질변화와 어류, 무척추생물, 조류, 식물 등의 서식 및 분포, 생태계를 파괴하는 주오염원에 대한 조사를 실시한다.

오염원이 무엇인가를 확인한 후에는 어류, 조류, 식물 등을 복원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게 된다. 이를 통해 하천 상·하위 생태계가 복원될 수 있도록 하는 것. 

▲ 생태하천복원사업 투자실적.
▲ 하천생태계복원사업 계획.

환경부는 1987년부터 지난해까지 298개 하천에 1조6585억원을 투입해 하천을 생태하천으로 변모시켰다.

올해는 사업비 1936억원을 투입해 133개의 하천 생태복원사업을 추진할 예정이다. 올해부터 2015년까지는 3조1834억원을 들여 412개 하천의 수생태계 복원을 추진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를 통해 전국 지방하천 가운데 생태하천 비율을 45%에서 51%로 늘린다는 계획이다. 실제 생태하천 복원 후 물의 오염정도를 표시하는 지표로 사용되는 생물학적 산소요구량(BOD)은 50.5% 가량 감소했다. 또 하천 복원 후에는 다양한 종류의 어류들이 서식하기 시작했다.

전주시 전주천에서는 1급수 어종인 쉬리, 참종개, 돌마자, 버들치 등이 서식하고 있고, 청주시 무심천에는 황초롱이, 원앙과 함께 멸종위기 Ⅱ급인 말똥가리, 흰목물떼새 등이 관찰됐다. 

하지만 사업이 추진된 후 개선효과를 검증할 수 있는 방법이 마련돼 있지 않다. 완공되면 그것으로 모든 사업은 끝이 난다.

최 차장은 "사업이 성공적으로 완성된다고 해도 차후 시설을 방치하면 효과가 떨어지게 마련"이라면서 "하지만 인원부족, 예산부족, 인식부족 등으로 사후관리가 미진한 게 사실"이라고 지적했다.

이에 따라 환경공단은 차후 사후모니터링을 위한 기법을 개발해 지자체에 제공 및 교육을 통해 시행될 수 있도록 적극 도울 계획이다.

또 생태하천복원사업의 영역을 확대해 특정 지역의 생태계를 대표할 수 있는 중요 동·식물의 생태계 회복을 위한 깃대종 복원에 힘을 쏟을 방침이다.

최 차장은 "생태하천을 준공하고 나면 주민들은 대부분 '겨우 이 정도냐'는 반응을 보인다"면서 "생태하천복원사업은 하천이 자연적으로 복원되도록 돕는 것으로 복원 기간을 줄이도록 자정능력을 키워 도움을 주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나영 기자 nylee@e2news.com

<ⓒ이투뉴스 - 글로벌 녹색성장 미디어, 빠르고 알찬 에너지·경제·자원·환경 뉴스>

<ⓒ모바일 이투뉴스 - 실시간·인기·포토뉴스 제공 m.e2news.com>

저작권자 © 이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