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투뉴스] 지난 13일 한국프로야구가 한 시즌 600만 시대로 들어섰다. 1982년 프로야구 출범 이후 29년만의 일이다. 하지만 이런 양적 성장이면에 인프라 부족과 한국 야구문화의 불균형을 지적하는 이가 많다. 일반인이 즐길 수 있는 소규모 지역 야구시설을 찾아보기 어렵다는 것이다.

신재생에너지도 소규모 지역 야구시설처럼 전국적으로 분산돼야 한다. 기술적인 한계로 대규모 발전이 어렵고 그 에너지원인 자연환경에 따라 제한적으로 발전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태양, 바람, 바이오매스 등을 융복합해 불안정한 발전을 보완하고 지역적으로 분산시켜 그 단점을 보완해야 한다.

이것이 소규모 분산형 전원 시스템이다. 이를 통해 지역적인 에너지자립이 가능하다. 또한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한 에너지 안보가 실현되는 것이다. 이는 최근 정전과 같은 중앙집중식 전력수급관리의 단점도 보완할 수 있다. 사고가 발생했을 때 발생하는 피해가 이번 사태처럼 국가적인 위기상황으로 연결되지 않는다.

시즌 600만 시대에 들어선 한국야구의 불균형이 국내 신재생에너지 관련 정책입안자들에게 시사 하는 바다. 신재생에너지가 국가 에너지 수급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높아진다 해도 그 보급 방법이 불균형하다면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그러나 국내 신재생에너지 보급 정책이 이런 균형적 발전을 외면하고 있지 않은가 염려스럽다. 지난 8일 '신재생에너지법 개정방향과 대안 모색'이라는 토론회가 열렸지만, 쟁점은 조력발전 추진여부였다. 지속적인 반대에도 불구하고 사업자인 발전자회사들이 사업 강행의지를 꺽지 않는 이유는 '해야 하기' 때문이다.

신재생에너지발전 비율을 의무적으로 할당받은 발전자회사들은 과징금을 물지 않기 위해 의무이행을 완료해야 한다. 최대한 한 번에 최대한 적은 비용으로 말이다. 때문에 비용이 분산되는 소규모 발전 사업 보다는 대규모 발전 사업에 집중해야 하고, 불균형한 에너지 체계를 만들더라도 발전원가가 저렴한 특정 에너지원에 집중해야 한다.

바이오매스를 바라보는 국내 관련 사업자들의 시선도 불안감을 가중시킨다. 최근 독일 리치(Reach)등록 전문업체 대표를 통해 독일 바이오매스 현황에 대해 전해들을 기회가 있었다. 그는 신재생에너지공급의무화제도(RPS)에 대응해 목재바이오매스를 대규모 발전원으로 사용하려는 국내 추세에 대해 우려를 표했다.

그에 따르면 독일에서 750kW 이상 규모의 설비로 목재펠릿을 사용하는 경우는 전무하다. 대신 일반 가정을 대상으로 자치지역에서 생산된 목재펠릿을 생산지역에서만 사용하는 형태다. 국내와 같이 보조금이 없음에도 가능했던 이유는 자치지역의 에너지자립도를 높이고, 목재펠릿을 운송하면서 발생하는 또 다른 에너지 소비를 줄이기 위해서다. 목표달성도 중요하지만 그 과정도 살펴볼 필요가 있다.  

우리는 이미 지역적으로 불균형한 전력생산 구조를 갖고 있다. 2009년 주요 시도별 발전량과 판매량을 보면 서울은 전력자급율 1.9%로 가장 많은 전력을 사용하면서 가장 적은 전력을 생산한다. 반면 충청남도는 전력자급률 333.9%다. 신재생에너지도 질적 균형성장을 생각해 볼 때다. 

길선균 기자 yupin3@e2news.com

<ⓒ이투뉴스 - 글로벌 녹색성장 미디어, 빠르고 알찬 에너지·경제·자원·환경 뉴스>

<ⓒ모바일 이투뉴스 - 실시간·인기·포토뉴스 제공 m.e2news.com>

저작권자 © 이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