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경제硏, 산업전망 보고서서 전망

▲ 신재생에너지주가지수 <출처-lgeri>

[이투뉴스] 신재생에너지 산업의 반등시기를 놓고 각종 예측이 나오는 가운데 일부 수요가 늘더라도 중국 등의 생산능력 확대로 태양광과 풍력의 공급과잉은 단기간내 해소가 어렵고, 이로 인해 혹독한 구조조정이 뒤따를 것이란 민간 경제연구소의 분석이 나왔다.

30일 이광우 LG경제연구원 책임연구원은 '풍력·태양광 산업 혹독한 구조조정 가운데 중국의 입지강화'란 제목의 보고서를 통해 "신재생에너지 수요가 위축되는 유럽을 중심으로 선진국들이 자국 산업을 보호하기 위해 '녹색보호주의'를 강화할 것으로 보인다"며 이같은 전망을 내놨다.

보고서는 신재생에너지가 조만간 성장을 재개할 것이란 낙관적 전망이 있는 반면, '그린버블 붕괴', '녹색 신기루'라는 말이 나올 정도로 회의론이 커지는 등 이 시장과 산업을 바라보는 시각차가 크다고 지적했다. 

일단 수직상승하던 태양광, 풍력 산업의 침체는 기정사실이다. 태양광 분야에서는 올해 2분기 미국 퍼스트솔라의 영업이익이 전분기 대비 반토막 났고, 8월에는 업계 3위인 솔린드라가 파산보호를 신청했다. 또 독일 큐셀은 상반기에만 4억6200만 달러의 영업적자를 기록했다.

풍력 역시 독일계 터빈업체인 리파워(Repower)가 중국에서 매출 부진으로 공장지분 매각을 추진하고 있고, 세계 2위 풍력터빈 기업인 시노벨은 올해 3분기까지 누적 순익이 지난해보다 49%나 감소하는 등 글로벌 터빈 메이커들도 고전하고 있다.

이런 업황은 산업계 주가로도 반영돼 세계 주가지수가 지난 4월을 기점으로 6개월간 13.4% 떨어질 때 신재생산업은 무려 33%나 하락세를 나타냈다고 보고서는 밝혔다. 산업별로는 태양광 주가지수(-46.3%)가 가장 하락폭이 컸고, 풍력지수(-18.4%)도 세계 주가지수보다 가파른 하락세를 보였다.

이 연구원은 "풍력과 태양광 발전시장에서 나타나고 있는 수요 둔화는 공급과잉 상황을 더욱 심화시키면서 신재생에너지 산업에 타격을 주고 있다"고 말했다.

보고서는 신재생 가격하락이 수요를 견인해 조만간 업황이 개선될 것이란 일각의 전망에 대해서도 "당분간 뚜렷한 반등을 보이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선을 그었다.

우선 수요 측면에서는 태양광과 풍력 설치 10대국 가운데 6개국이 포함된 유럽에서 수요가 살아나려면 남유럽 재정위기가 진정되고 회원국들 재정상황도 개선돼야 한다. 하지만 최소 내년까지 재정위기의 긴장과 불안이 지속될 것으로 보이고 장기화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보고서는 지적했다.

다만 일본과 중국의 태양광 수요 증가가 유럽의 수요감소를 만회하고 개도국과 일본 등 기타 국가들에서도 태양광 풍력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해 연간 10%대의 수요 증가는 이어갈 것으로 예측했다.

공급측면에서는 수요 둔화에 따른 이익 감소에도 불구하고 일부 메이저 기업들이 기존 증설계획을 이행하면서 최근 2년간의 공격적 모습은 아니지만 제한적인 공급과잉을 부추길 것으로 예상했다.

▲ 2010년 기준 세계 10대 풍력·태양광기업

태양광의 경우 정부 자금을 지원받은 썬텍, LDK, 징코솔라 외에도 지난해 한화가 인수한 한화솔라원도 증설에 가세하고 있다. 또 탈원전 정책과 발전차액 지원제 도입에 힘입은 일본 기업들도 기술개발 중심으로 투자를 늘리고 있다.

풍력의 경우는 중국 뿐만 아니라 미국 에너지부가 4300만 달러 규모의 해상풍력 기술개발계획을 발표하는 등 생산능력 및 기술개발 투자가 지속되고 있다. 결국 이런 흐름이 공급과잉을 지속시키고 단가 하락을 유인해 가격 경쟁력이 상대적으로 약한 기업의 구조조정으로 이어질 것으로 보고서는 분석했다.

특히 중국의 경우 정부지원과 저렴한 인건비를 발판으로 생산설비 확충에 나서 유럽기업보다 최대 40%나 값싼 제품을 생산하면서 세계시장을 장악하고 새로 도입되는 발전차액지원제로 세계 수요둔화에 따른 실적부진을 내수에서 보완할 것으로 예상했다.

이 연구원은 "중국과 인도 등 개도국과 일본에서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보이지만 공급과잉을 해소하기에는 턱없이 부족할 전망"이라며 "수요 부족에도 중국기업들이 설비증설에 적극 나서고 있어 풍력, 태양광의 공급과잉은 단기간내 해소되기 어려울 전망"이라고 말했다.

벼랑 끝에 몰린 자국 산업을 보호하기 위해 미국과 유럽을 중심으로 '녹색보호주의'가 확산될 것이란 전망도 내놨다.

금융혜택처럼 재정이 투입되는 산업지원보다 규제 강화를 통해 내수산업을 보호할 것이란 예측이다. 최근 미국 상무부가 중국산 태양전지에 반덤핑 및 반보조금 관세 부과를 검토하는 것이 일례다.

보고서는 "공급과잉 속에 전개될 것으로 보이는 구조조정 흐름에 우리기업도 향후 수년동안 경쟁 격화를 각오해야 하며,  중국기업에 대한 차별성 확보가 어려운 분야는 혹독한 경쟁에 내몰리 우려가 높다"며 "그러나 신재생 산업이 성장 초기단계에 있는 만큼 도약의 기회는 중장기적으로 열려 있다"고 강조했다. 

이상복 기자 lsb@e2news.com  

<ⓒ이투뉴스 - 글로벌 녹색성장 미디어, 빠르고 알찬 에너지·경제·자원·환경 뉴스>

<ⓒ모바일 이투뉴스 - 실시간·인기·포토뉴스 제공 m.e2news.com>

저작권자 © 이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