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사별 신재생에너지 설비확충 분주
올해 이행률 낮아 과징금 폭탄 우려

 

▲ 중부발전이 서울 서남물재생센터에 설치한 태양광발전소
[이투뉴스] 한국남부발전은 지난해 11월 인천 수산정수사업소에 1MW급 태양광발전 설비를 갖췄다. 한국동서발전은 올해 르노삼성 부산공장 지붕과 인근부지에 20MW 규모의 태양광발전소를 짓기로 했다. 한국남동발전은 내달께 구미시 유휴부지를 활용, 태양광 발전단지 조성사업에 착수할 계획이다.

한국전력 발전자회사들이 올해부터 시행되는 'RPS(신재생에너지 공급의무화)' 제도 대응을 위해 분주한 모습이다.

당장 올해부터 전체 발전량의 2%를 신재생에너지로 공급해야 하는 발전사들은 태양광발전소 등 각종 신재생에너지 발전 설비를 늘리기 위해 각종 안간힘을 쏟고 있다.

발전사들은 이 같은 노력에도 불구, 충분한 발전설비를 갖추지 못해 초조해하고 있다. RPS 의무량을 채우지 못해 과징금을 맞는 일이 속출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 신재생 발전설비 주력분야 달라

RPS는 설비용량 500MW 이상의 발전설비를 갖춘 발전회사가 연간 전력 생산량의 일부를 신재생에너지로 생산, 공급하도록 한 제도다.

의무대상은 한전의 6개 발전자회사와 한국수자원공사, 한국지역난방공사, 포스코파워, GS EPS 등 13개사. 이들 회사는 올해 전체 발전량의 2%를, 2022년까지는 10%를 신재생에너지로 충당해야 한다. 

발전업계는 RPS 의무량 달성을 위한 폭넓은 포트폴리오를 구성하고 있지만 회사마다 주력 사업분야에서 조금씩 차이가 난다.

남부발전은 풍력분야에서 강세를 보인다. 일찌감치 제주 한경 21MW, 제주 성산 20MW 규모의 풍력설비를 갖춘 남부발전은 지난해 말 태백풍력(18MW)을 비롯, 올해까지 창죽풍력(18MW), 무주풍력(40MW), 평창풍력(26MW) 등을 잇따라 건설할 계획이다.

뿐만 아니라 올해부터 제주 대정과 한경, 구좌, 우도 등 해상에 5MW급 풍력발전기 100기를 건설하는 대규모 해상풍력단지 건설을 추진하는 등 풍력 주도권을 이어간다는 구상이다. 2020년까지 신재생에너지 설비를 확충, 설비용량을 1800MW까지 늘릴 계획이다.

동서발전은 경제성이 우수한 풍력에 초점을 맞춰 화천 대성산(34MW), 경주 조항산(20MW), 정선 임계(50MW), 강릉 대기리(24MW) 등 전국적으로 128MW 규모의 풍력발전단지를 건설할 계획이다.

태양광 분야에서는 올해 말까지 르노삼성 부산공장 지붕과 주차장에 20MW 규모의 발전설비를 짓는다. 광양항 컨테이너 부두 내 2.3MW 규모 설비를 갖췄으며 향후 배후물류단지에 총 40MW 규모의 발전단지를 조성한다는 계획도 갖고 있다.

이밖에 2013년 3월까지 동해화력 내 국내 최대 규모의 우드칩 바이오매스 전용 발전단지를 구축할 계획이다.

남동발전은 2020년까지 신재생에너지 설비용량을 1600MW까지 확충할 계획이다. 우선 초기 RPS 공급의무 달성을 위해서는 건설기간이 짧고 인허가가 용이한 육상풍력과 연료전지 개발에 집중한다는 전략이다.

지난해 인천 영흥화력 내 국산 풍력발전기 9대로 구성된 22MW급 풍력 상용화단지를 구축했다. 이를 바탕으로 육상풍력에 주력하는 한편, 장기적으로 해상풍력을 개발할 예정이다. 태양광은 올해부터 매년 30~40MW 규모의 설비를 지속적으로 늘릴 계획이다.

중부발전은 2020년까지 1600MW 달성을 목표로 풍력, 폐기물(RDF), 바이오매스, 해상풍력 등 다방면의 사업을 고루 추진할 계획이다.

현재 양양풍력(3MW), 제주 한림풍력(20MW), 제주 상명풍력(MW), 고성풍력(20MW) 등 육상풍력을 개발하고 있다. 지난해 수도권 최대용량인 서울 서남물재생센터 발전소 준공에 이어 제주대 태양광, 김해산단 태양광 사업 등을 추진 중이다.

후발주자에 속하는 서부발전은 출발이 늦은 만큼 대형사업을 준비하고 있다. 현재 소수력과 태양광을 포함, 모두 5.58MW 규모의 설비가 서부발전이 가진 전부다. 서부발전은 520MW급 가로림 조력발전과 300MW급 태안 석탄가스화복합발전(IGCC)를 중심으로 설비를 마련할 계획이다.

◆ 올해 RPS 이행 전망 '흐림' 

발전사들의 이 같은 노력에도 불구하고 올해 RPS 이행 전망은 어둡다. 올해 발전6사가 확보해야 하는 신재생에너지 설비는 1800MW 수준이다. 그렇지만 실제 운영 가능할 것으로 예상되는 설비는 300~400MW 정도에 그쳐 20%선에 머문다.

발전설비 확충이 시급하지만 주민 반발로 인해 사업 추진이 쉽지 않다. 각사별 조력발전 사업의 경우 환경 파괴를 우려하는 주민과 환경단체의 반대로 제동이 걸렸으며 여전히 논란이 많은 상황이다.

때문에 발전사들은 올해 부족분을 신재생에너지 공급인증서(REC) 구매로 충당할 계획이지만 이마저도 쉽지는 않을 전망이다. 태양광발전 외 신재생에너지 설비가 충분치 않은 상황에서 시장에서 거래될 인증서가 충분치 않은 까닭이다.

발전회사 한 관계자는 "환경적 여건이 따라주지 않아 설비를 확충하는 것도 쉽지 않고 현실적으로 의무량을 채우는 것도 어렵다"고 토로했다.

발전사들의 고충과 달리 정부는 RPS 이행과 관련해 낙관적인 전망을 내놓고 있다. 에너지관리공단의 'RPS 단기(5년) 이행전망' 자료에 따르면 내년부터 2016년까지 이행률은 평균 93.6%로 예상된다.

이는 발전사들이 신재생에너지 설비를 자체 충당하는 용량과 공급인증서 구매량을 모두 합산해 추정한 것으로 조력발전과 IGCC는 제외한 채 얻은 수치라는 게 공단 측 설명이다.

에너지관리공단 관계자는 "올해 이행량의 30%는 다음해로 넘길 수 있고 부족분을 공급인증서로 채울 수 있기 때문에 의무량 달성에는 큰 문제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광균 기자 kk9640@e2news.com

<ⓒ이투뉴스 - 글로벌 녹색성장 미디어, 빠르고 알찬 에너지·경제·자원·환경 뉴스>

<ⓒ모바일 이투뉴스 - 실시간·인기·포토뉴스 제공 m.e2news.com>

저작권자 © 이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