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극적인 보급 지원책 발표…공공부문 의무화 추진
LED협회, '아파트 지하주차장 조명교체 사업' 착수

[이투뉴스] 주춤했던 LED 산업이 정부와 민간의 잇단 보급 계획 발표로 본격적인 시장 확대가 주목 받고 있다.

2009년 이후 미래 신산업에 대한 기대감으로 국내 LED업체가 빠르게 증가하는 등 산업 규모가 급속도로 성장했던 LED 산업은 제품 규격 인증 문제와 기존 제품 대비 2~10배 가까이 높은 가격 때문에 보급 활성화에 어려움을 겪었다. 지난해는 정부가 국내 LED 산업을 중소기업적합업종으로 규정하면서 논란이 일기도 했다.

하지만 정부의 적극적인 정책 의지와 한국LED보급협회(회장 김기호)를 중심으로 하는 산업계의 보급 확대 노력으로 올해는 시장 분위기가 한층 달아오르는 분위기다. 

LED는 기존 광원에 비해 획기적으로 에너지절감이 가능하고 수명(10~20배)이 길어 차세대 녹색산업으로 주목 받고 있는 반도체 기반 신광원이다. 

2012년 기준 세계 LED 시장규모는 694억달러, 조명 부문은 120억달러로 오는 2020년 각각 2650억달러, 1015억달러까지 연평균 20% 이상의 고속성장이 예상되고 있다.

특히 기존 형광등의 문제로 지적되던 수은을 사용하지 않고도 약 50% 이상 전력소비를 줄이고 백열등과 할로겐을 대체할 경우 90% 이상 에너지절감 효과를 볼 수 있는 것이 장점이다.

반면 기존 광원 대비 2~10배에 이르는 높은 가격은 LED조명 보급에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최근 녹색성장위원회는 이행점검회의를 통해 국내 LED시장의 부진 이유를 관계부처간 협의부재와 재정·금융, 제도 미흡으로 소비 생태계가 열악해 재검토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앞서 지난해 정부는 2015년 LED조명 및 융합산업 부문 글로벌 선두권 진입을 목표로 민·관 전체 30%를 LED조명으로 교체하겠다는 야심찬 계획을 내놨다.

이에 따라 녹색위와 지경부, 기재부, 행안부, 국토부 등 관계부처는 올해 산업단지와 학교 등을 중심으로 대규모 수요처 발굴을 추진하고, LED조명 시범도시를 선정해 설치를 유도하는 집중 투자 계획을 발표했다.

또 각 공공기관 및 지자체의 LED교체사업을 활성화하기 위해 사업 예산에 관한 명확한 지침을 배포했다.

행안부와 기재부는 민간자금을 활용해 조명교체사업을 추진할 경우 공공운영비로 설비투자금을 상환할 수 있도록 했으며, 지경부는 공공기관 에너지이용합리화 규정을 개정·고시해 오는 2013년부터 공공건물에 대한 연도별 보급목표를 설정하고 신축 공공건물에도 설치를 의무화했다.

민간에서는 한국LED보급협회(회장 김기호)가 수요처 확대에 나섰다.

협회는 정부의 LED 등 고효율 인증 조명제품 설치 의무화 정책에 힘입어 지난해부터 '아파트 지하주차장 조명교체 사업'을 기획해왔다.

정현정 협회 홍보팀장은 "올해는 아파트 지하주차장 조명교체 사업이 본격적으로 시행될 예정"이라며 "사업에 참여할 우수 조명업체를 선정과 사후관리 시스템 업그레이드 논의, 금융지원 문제 등 주요 사항이 마무리 단계에 있다"고 말했다.

아파트 지하주차장은 법적으로 24시간 내내 조명을 켜놔야 하기 때문에 LED조명에 적합할 뿐 아니라 절전차액 계산도 쉽다. 또 LED 특성상 기존 형광등에 비해 우수한 미관을 갖출 수 있다.

협회는 이 사업을 위해 가격 거품을 제거하고 1/3 수준으로 설치비를 낮췄으며 무상 A/S기간을 기존보다 늘리기로 각 업체와 논의를 끝마쳤다.

아파트 지하주차장 조명교체 사업의 가장 큰 특징은 초기 설치비용이 전혀 없다는 것이다. 높은 가격으로 인한 소비자 부담을 없애기 위해 민간 은행의 투자를 받아 무료로 설치가 진행되기 때문이다. 

투자비용은 소비자들이 기존에 납부하던 관리비에서 절전차액만큼 회수하고 제품 가격을 낮춰 회수기간을 줄였다. 협회가 제시하는 설치비 회수기간은 3년. 이후 절전차액은 소비자들의 관리비 절감으로 되돌려 받는다는 게 이 사업의 기본 방향이다.

협회는 지하주차장 사업이 LED조명에 대한 소비자 인식 제고는 물론 수요처 확대의 기반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한편 LED BLU(백라이트유닛)은 TV와 핸드폰 등 액정 분야에 크게 활용되고 있으며 최근 3D TV 수요 증가로 향후 수요 증대가 예상되고 있다.

김부민 기자 kbm02@e2news.com

<ⓒ이투뉴스 - 글로벌 녹색성장 미디어, 빠르고 알찬 에너지·경제·자원·환경 뉴스>

<ⓒ모바일 이투뉴스 - 실시간·인기·포토뉴스 제공 m.e2news.com>

저작권자 © 이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