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투뉴스] 과학 기술을 통해 개도국 저소득층의 복지 증진과 지역 사회 발전을 도모하는 이른바 '중간기술'이 사회 양극화 확대와 IT기술 발전으로 최근 주목받고 있다.

아직은 낯설은 '중간기술'은 무작정 근대 산업기술을 선호하기 보다는 자국민의 상황을 고려한 기술을 우선적으로 발달시켜야 한다는 개념이다.

우리나라에는 다소 생소한 중간기술은 생각보다 깊은 역사를 가지고 있다.

중간기술의 시초는 20세기 초반 인도 독립운동가인 마하트마 간디다. 당시 영국의 식민지 지배에 저항하던 간디는 영국의 방직기가 들어오면 인도의 전통 섬유산업이 붕괴하고 지역 경제가 황폐해지는 암울한 현실에 대응해 전통적인 방법에 따라 물레를 돌려 직접 옷을 만들어 입고 다녔다.

이후 중간기술이란 용어는 영국의 경제학자 슈마허에 의해 처음 세상에 알려졌다.

그는 1973년 <작은 것이 아름답다>라는 저서를 통해 근대 산업사회의 대량생산 기술은 재생할 수 없는 자원을 낭비하기 때문에 생태계의 법칙과 공존하면서 희소한 자원을 낭비하지 않는 기술인 중간기술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렇게 그가 주장한 중간기술은 후에 '적정기술'로도 불리게 됐다. 다소 포괄적이었던 개념 또한 각 지역의 상황에 맞게 노동집약적이며 환경 적합적인 기술로 구체화됐다.

중간기술(적정기술)이 등장한 이후 각국 정부와 NGO 등은 활발한 연구를 진행 중이다. 우리나라 정부도 지난해 11월 'R&D 36.5℃ 전략'에서 저개발 국민을 위한 적정기술의 개발·보급 및 확대를 발표했다.

특히 최근에는 글로벌 경기침체와 친환경 그린 기술의 발전으로 더욱 주목받고 있다.

고속 경제성장으로 퍼주기식 지원에 집착했던 복지제도가 예산 문제 등에 부딪히면서 새로운 접근 방법이 필요하게 된 것. 또한 그동안의 경제 정책이 실효를 거두지 못한 것도 적정기술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 있다.

사실 지금까지 적정기술은 복지정책의 범주안에서 해석됐다.

때문에 적정기술의 지원 대상은 아직까지도 인구의 40%가 기아에 시달리고 있는 아프리카 대륙과 같은 빈민국이었다.

하지만 적정기술의 핵심은 이용자 관점에서 문제를 해결한다는 데 있다. 이용자가 실질적으로 받을 수 있는 도움을 통해 해당 공동체의 경제성장을 이룬다는 것이 적정기술의 목표다.

이는 적정기술이 상당한 유연성을 가지고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해당 공동체의 상황에 맞는 적절한 기술 도입과 개발은 자원이 풍부하지 않은 우리에게 많은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적정기술은 불필요한 자원낭비를 막아 친환경적이라는 장점도 있다. 이 또한 우리가 적정기술에 관심을 가져야 할 이유다.

많은 경제 석학들은 앞으로는 과거와 같은 고속 성장시대가 오지 않을 것으로 전망하고있다.

이러한 암울한 전망은 대표적인 자원 빈국인 우리나라에서 적정기술을 적극적으로 도입해야 할 중요한 이유다. 부족한 자원의 효율적 활용은 우리에게 꼭 필요한 기술이기 때문이다.

이준형 기자 jjoon1214@e2news.com

<ⓒ이투뉴스 - 글로벌 녹색성장 미디어, 빠르고 알찬 에너지·경제·자원·환경 뉴스>

<ⓒ모바일 이투뉴스 - 실시간·인기·포토뉴스 제공 m.e2news.com>

저작권자 © 이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