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교류·저변확대 위해 'CCS 컨퍼런스' 기획
선진국들 향후 기술 상용화 대비해 투자 활발

 

[이투뉴스] "CCS(이산화탄소 포집 및 저장) 컨퍼런스는 각 부처별로 진행되고 있는 연구의 정보교류 공간으로 향후 국내 CCS 기술 상용화의 구심점이 될 것입니다."

박상도 CCS 컨퍼런스 조직위원장(KCRC 센터장)은 2020년 CCS 상용화를 목표로 각 분야 연구자들이 진행하고 있는 과제에 대한 정보 공유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현재 우리나라는 국가과학기술위원회를 비롯해 교육과학기술부, 지식경제부, 국토해양부, 환경부 등 4개 관련 부처에서 각각 CCS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박상도 조직위원장에 따르면 올해로 2회째를 맞는 'Korea CCS 컨퍼런스'는 지난해에 비해 연구 발표가 30% 이상 늘었고 참석자도 400여명 정도로 CCS 관련 전문가들이 대거 참석했다.

그는 이를 두고 2010년 국가 CCS 로드맵 수립 이후 국내 CCS 기술이 양적, 질적으로 발전하고 있다는 것을 반증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박 위원장은 "CCS는 지구온난화로 인한 기후변화 대응에서 가장 확실한 역할을 할 것"이라면서 "여전히 화력발전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상황에서 CCS 기술의 도입은 이제 필수적"이라고 말했다.

원자력발전에 대한 안전성 논란과 신재생에너지 보급의 어려움 등이 이슈화되고 있는 시점에서 CCS는 이산화탄소를 절감할 수 있는 가장 현실적인 방법이라는 것.

그는 또 "CCS의 상용화는 환경적인 측면에서 뿐만 아니라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사업화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며 "세계적인 기업들은 이미 CCS 관련 부서를 신설하고 정보 수집에 들어간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포집 분야 원천 기술을 가지고 있는 일본의 경우 중공업 및 엔지니어링 기업들이 CCS 사업화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으며 미국이나 유럽 등지에서도 저장 분야에서의 민간 투자 비중이 점차 늘고 있다.

박 위원장은 "국제적으로 논의되고 있는 이산화탄소 감축시나리오가 현실화될 경우 CCS 기술 상용화는 빠르게 진행될 것"이라면서 "2020년부터는 전 세계가 감축 의무를 가지게 될 것이므로 이에 앞서 원천 기술 등 상용화에 필요한 기반을 구축하기 위해 모든 CCS 분야 연구자들이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전 세계적으로 CCS 기술개발을 진행하고 있는 나라들은 대부분 선진국"이라며 "그들은 CCS의 향후 사업화를 예상하고 투자하고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가 이끌고 있는 한국이산화탄소포집및처리연구개발센터(KCRC)는 교과부 지원으로 약 1700억원을 투자해 2020년 CCS 상용화를 위한 '코리아 CCS 2020'을 진행하고 있다.

아직 국내에서는 CCS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부족한 상황이기 때문에 관련 인프라에 대한 투자와 저변 확대를 통해 상용화에 대비한 기반을 다지는 게 중요하다고 박 위원장은 강조했다.

센터는 현재 국내 자체적인 기술개발 뿐 아니라 국제 공동연구를 통해 상용화시기를 앞당길 수 있도록 글로벌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

박 위원장은 "포집 분야의 경우 선진국들이 기술 누출을 우려해 공동연구를 꺼리고 있다"면서 "센터는 수송과 저장, 처리 부분에서 MOU 수준이 아닌 실질적인 국제협력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리고 밝혔다.

<제주=김부민 기자 kbm02@e2news.com>

 

<ⓒ이투뉴스 - 글로벌 녹색성장 미디어, 빠르고 알찬 에너지·경제·자원·환경 뉴스>

<ⓒ모바일 이투뉴스 - 실시간·인기·포토뉴스 제공 m.e2news.com>

저작권자 © 이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