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투뉴스] 자연재해는 질병, 테러 등과 더불어 관광산업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대표적인 돌발 변수다.

자연재해가 관광산업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친 사례를 찾기는 어렵지 않다.

가장 대표적이고 실감나는 사례가 지난해 발생한 동일본 대지진이다. 2011년 3월 11일 발생한 동일본 대지진과 쓰나미로 인해 그해 방일 광관객 수가 전년대비 26.1%(약 239만명) 감소했다.

동일본 대지진 이외에도 인도양 쓰나미, 허리케인 등 2000년대 이후 발생한 대형 자연재해는 관광산업에 큰 피해를 끼쳤다.

피해규모도 천문학적이다. 인도양 쓰나미는 약 30억달러, 美뉴올리언스 '카트리나'는 44억 달러 등이 복구 액수로 사용됐다.

일단 자연 재해가 발생하면 마땅한 해결책이 없다. 자연재해가 일어난 해당 국가는 내국인의 국내 여행이 감소하고, 외래 관광객의 인바운드 관광이 감소해 결국 관광산업 자체가 위축된다.

더욱이 자연재해는 회복시간이 오래 소요된다.

2004년 발생한 인도양 쓰나미의 피해를 회복하는데 1년이 소요됐고, 2005년 미국 뉴올리언스를 강타한 허리케인 '카트리나'는 3년 반, 2011년 뉴질랜드에서 발생한 크라이스트처지 지진 피해는 아직도 회복을 못하고 있다.

지진, 쓰나미, 허리케인 등으로 인해 타격을 받은 관광산업이 자연재해 이전 수준으로 회복되는데 최소 1년에서 많게는 수년의 시간이 소요된다.

관광산업의 침체는 경제 성장에도 마이너스로 작용한다. 단순비교는 불가능하지만 지난해 일본 GDP는 7000억엔(약 9.8조원)감소했다는 분석도 나온다.

자연재해의 위험으로부터 자유로운 곳은 없다. 한국도 예외가 될 수 없음은 분명하다. 한국에서도 최근 자연재해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으며, 그 규모도 커지는 상황이다.

2002년에는 태풍 '루사' 등의 피해복구에 약 9조원이 소요됐다. 한국에서 동일본 대지진과 같은 규모의 피해가 발생했을 경우 관광산업 피해규모가 4조1000억원으로 추정된다는 보고서도 나와 있다.

국가 재해대응 시스템을 구축해 재해 발생시 피해를 최소화하는 것은 모든 분야에 해당한다. 관광산업도 이에 해당함은 물론이다.

특히 관광산업은 국가 이미지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에서 재해에 따른 이미지 실추를 방지하는 체계적 관리가 절실하다. 일례로 2001년 영국은 구제역으로 인한 농업 부문의 피해보다 관광산업의 피해가 더 심각했다.

이를 위해선 피해지역과 피해규모를 사실 그대로 전달할 필요가 있다. 미디어의 특성상 재해에 대한 이미지가 과장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미디어와 협조해 피해 사실을 객관적으로 전파하는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1999년 터키 이즈밋 지진의 경우 이스탄불의 피해가 크지 않았음에도 미디어의 부정적 노출로 인해 관광산업이 큰 타격을 입었다.

자연재해로 인한 대체 관광지 효과는 단기간에 끝나기 때문에 재해 발생 전에 대체 관광지 관계에 대한 사전 조사도 필요하다. 이는 개별 기업이 시행하기에는 쉽지 않다. 정부가 인프라 조성차원에서 검토하고, 시행해야 할 과제다.

기업도 정책에 부응해 타깃 시장에 대한 마케팅을 강화하고 관광 만족도를 제고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마련해야 한다.

이준형 기자 jjoon1214@e2news.com

<ⓒ이투뉴스 - 글로벌 녹색성장 미디어, 빠르고 알찬 에너지·경제·자원·환경 뉴스>

<ⓒ모바일 이투뉴스 - 실시간·인기·포토뉴스 제공 m.e2news.com>

저작권자 © 이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