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매출 증대 총력…규모 클수록 효율도 높아
증설·부지이전 따른 민원후폭풍 등 부작용도

[이투뉴스] 새로 짓거나 추진하는 열병합발전소 용량증설에 집단에너지사업자들이 적극 나서고 있다. 전력부족으로 인해 SMP(계통한계가격)가 오르면서 전기판매를 통한 이익극대화와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다. 다만 증설과 이를 위한 부지이전에 따른 민원 증가 등 후폭풍도 만만치 않아 대책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집단에너지업계에 따르면 마곡지구의 서울시를 비롯해 하남 미사지구 코원에너지서비스, 동탄2지구 한국지역난방공사 등이 열병합발전소 규모를 최초보다 대폭 늘리는 내용으로 사업계획을 속속 변경하고 있다.

우선 마곡지구의 경우 서울시는 당초 50MW 규모이던 발전소를 400MW로 늘리는 방안을 적극 모색중이다. 코원에너지서비스 역시 하남 미사지구 열병합발전소를 288MW에서 400MW로 키운다는 계획이다.
여기에 지역난방공사도 동탄2지구 열병합발전소를 당초보다 2.5배 키운 874MW로 사업계획을 수정하고 지경부에 집단에너지사업 변경허가 신청을 준비하고 있다.

집단에너지업계의 열병합발전소 용량확대는 비단 최근의 일만은 아니다. 지역난방공사의 파주와 화성발전소 모두 350MW에서 510MW로 규모를 키운 것이다. 또 구역전기사업자 허가를 받았던 별내지구 역시 100MW 규모에서 집단에너지사업으로의 변경과 함께 발전용량을 515MW로 5배 이상 늘린 바 있다.

집단에너지사업자들이 열병합발전 용량 키우기에 적극 나서는 것은 최근 전력부족으로 인해 계통한계가격이 kWh당 180원을 넘어서는 등 전력시장이 활황을 보이는 것이 가장 큰 이유로 꼽히고 있다. 실제 화성 및 파주에 대규모 발전소를 가동하면서 열부문에서의 손실을 전기판매로 커버하고 있는 지역난방공사 사례가 이를 입증한다.

여기에 가스터빈의 경우 용량이 클수록 발전효율이 올라가는 장점도 한 몫을 했다. 또 규모의 경제를 갖춰야만 전기와 열 생산을 운전모드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는 점도 일조하고 있다.

신현우 삼천리 이사는 “열은 포화년도까지 시간이 오래 걸리기 때문에 초기 발전사업을 통해 이를 만회해야 한다”면서 “전력거래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라도 적정 규모를 갖추는 게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이같은 발전용량 키우기 붐에 대해 일부에서는 집단에너지를 핑계로 사실상 발전사업을 벌이려는 것 아니냐는 부정적인 시선도 존재하고 있다. 특히 용량 증설과 부지이전 사례가 잦아지면서 지역주민 민원 유발 등 부작용에 대한 우려도 나온다.

한태일 지역냉난방협회 부회장은 이와 관련 “100MW 이하 발전소를 보유한 사업자의 최근 위기상황을 보면 용량증설이 불가피한 측면이 있다”고 말했다. 다만 그는 “장기적으로 SMP 하락 가능성 등 전력시장 구조가 변할 경우 과도한 발전소 규모가 오히려 짐이 될 수도 있는 만큼 신중하게 접근해야 할 것”이라고 주문했다.

채덕종 기자 yesman@e2news.com

<ⓒ이투뉴스 - 글로벌 녹색성장 미디어, 빠르고 알찬 에너지·경제·자원·환경 뉴스>

<ⓒ모바일 이투뉴스 - 실시간·인기·포토뉴스 제공 m.e2news.com>

저작권자 © 이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