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투뉴스] “이미 사망한 것과 다름없는 환자를 법정관리라는 마약성분의 링거를 꼽아 살리고 있다고 생각해요. 지금 죽으면 누군가 책임져야 하니까 병원비가 쌓이는데도 서로 버티고 있는 셈이죠”

집단에너지업계의 한 관계자는 망했어도 진즉 망했어야 하는 경기CES가 아직도 연명하고 있다며 이에 대한 책임소재는 나중에라도 반드시 가려야 한다면서 이렇게 말했다. 여전히 회생방안 찾기가 쉽지 않은 경기CES가 법정관리를 통해 근근히 유지하고 있는데 대한 반감을 표시한 것이다.

이 관계자의 말처럼 경기CES가 근본 해결책이 아닌 법정관리라는 비상수단을 통해 운용은 하고 있다. 하지만 이 역시 아슬아슬한 외줄타기를 하고 있는 상태다. 가스를 공급하는 도시가스사와 보완전기를 주는 한전이 계속 늘어나는 외상값을 언제까지 용납할 수 있을까.

그럼에도 버티는 데에는 모두 이유가 있다. 경기CES 최대주주가 가스공사 자회사인 가스기술공사이며, 전기공급자인 한전 역시 공기업이다. 그러다보니 늘어나는 가스값에 대한 지급보증을 설 수 있었으며, 밀린 전기요금을 달라고 채근하지 못한다. 그 뒤에는 지경부가 있다.

속앓이는 하는 곳은 민간 도시가스사인 대륜E&S다. 법정관리로 그동안 쌓였던 채무는 동결된 상황에서, 동절기 열공급을 위해선 받을 기약도 없이 가스를 공급해야 하기 때문이다. 지난 7월 사상 초유의 공급중단사태가 벌어질 뻔 했던 것도 대륜이 가스공급을 중단하겠다고 나서면서 부터다.

동절기 들어 가스공급량이 크게 늘면서 연체요금도 눈덩이처럼 불어나자, 이를 언제까지 눈감아 줘야 할 것인지 내부에서는 적지 않이 논란이 일고  있다는 전언이다. 책임이 분명한 민간사에서 뻔한 손해를 놔두고 있을 곳은 없기 때문이다.

이는 결국 언제든 경기CES 공급중단사태는 재연될 수 있다는 얘기가 된다. 그럼 또 다시 지경부가 나서 가스기공과 한전을 압박할 것인지 벌써부터 궁금해진다. 경기CES가 정상궤도에 들어가기 전까지 무한반복될 수밖에 없는 스토리다.

어느 한 곳이 망해서 공급중단 사태가 벌어져야만 정부가 나설 것이라는 구역전기사업자의 기대도 점차 사라지고 있다. 모기업이 직접 운영하는 곳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완전 자본잠식 상태에 빠진 구역전기사업자들은 걱정이 태산이다.

모두 경기CES를 쳐다보고 있는 것은 처음으로 수술대에 올랐다는 상징성 때문이다. 완쾌돼서 다시 시장에 당당하게 걸어 나올 수 있을지, 아니면 청산이라는 미지의 길로 가게 될지가 궁금한 것이다. 어쩌면 그 뒤를 따라야 하는 운명을 가진 다른 CES기업들은 더 애틋한 시선으로 볼 수밖에 없다.

하지만 수술결과는 여전히 알 수 없다. 업계의 표현대로 꼽은 링거를 빼야 알 수 있는데 누군가 빼지 못하도록 막고 있는 지도 모른다. 병을 발견했으면 초기에 치료해야 한다. 진통제만 처방한 채 방치하면 그만큼 완치는 어려워지고, 병원비만 늘어난다는 사실을 잊어선 안된다.

채덕종 기자 yesman@e2news.com 

<ⓒ이투뉴스 - 글로벌 녹색성장 미디어, 빠르고 알찬 에너지·경제·자원·환경 뉴스>

<ⓒ모바일 이투뉴스 - 실시간·인기·포토뉴스 제공 m.e2news.com>

저작권자 © 이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