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년간 생산액 5배 껑충 1조원 시장

화훼산업은 우리나라의 경제성장에 따른 수요 증가와 세계무역기구(WTO)로 대변되는 국제 농업환경의 변화에 따른 정부의 화훼작물 생산정책 등으로 농업에서 차지하는 비중과 중요성이 날로 증대되고 있다.

또한 화훼산업은 지난해 전체 농산물 수출액의 8.6%를 점유하며 5230만 달러의 외화를 벌어들이는 수출 효자 품목으로 자리를 굳혀가고 있다.

화훼 전문 농가들은 수출과 종자 및 기술개발로 우리 시장을 지킬 뿐만 아니라 해외로 뻗어나가는 전략을 세우고 착실히 내실다지기에 힘을 쏟고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 화훼산업은 지금 일대 전환기를 맞고 있다. 화훼업계에 따르면 안으로는 경영비 상승에 따른 경쟁력 약화·재배시설 노후화, 밖으로는 중국·동남아국가들의 도전과 검역 등 비관세장벽 강화·로열티 분쟁이 발목을 잡는 등 내우외환을 겪고 있다.

◆ 수치로 보는 화훼산업

농림부에 따르면 화훼 재배 농가는 지난 1990년 8950호에서 지난해에는 1만2860호로 늘어난 반면 같은 기간 전체 농가는 176만7000호에서 127만3000호로 줄었다.

생산금액에 있어서 화훼산업은 1990년 2390억원에서 지난해에는 1조105억원으로 5배 가까이 늘어난 반면 농림업은 1조7728억원에서 2004년 3조6156억원으로 2배 늘어난 데 그쳤다.

재배면적도 화훼면적은 1990년 3500ha에서 지난해 7950ha로 늘어난 반면 농경지는 오히려 210만9000ha에서 182만4000ha로 줄었다.

수출액에 있어서도 화훼는 지난 1990년 140만달러에서 지난해 5230만달러를 기록하는 등 성장을 보인 반면 농산물 수출은 4억9140만달러에서 6억890만달러 성장하는 데 그쳤다.

 

◆ 이율배반의 화훼정책

지난해 말 현재 국가별 1인당 연간 꽃소비는 덴마크 96만원, 네덜란드 93만원, 화란 93만원, 일본 67만원 등에 비해 우리나라는 21만원에 그치고 있다.

홍영표 한국무궁화 연구회 회장은 "정부가 한쪽으로는 생산을 지원하고 장려하면서 심심하면 꽃안주고 안받기를 외치는 이율배반의 화훼정책을 펼치고 있다"며 "내수의 바탕이 없는 수출은 공중누각이나 다를 바 없다"고 지적했다.

또한 지난 2000년 이후로는 화훼 육성을 위한 정부의 지원과 농가의 피부에 와닿은 정책이 부재상태에 빠져 있다고 화훼 전문 농가들은 꼬집고 있다.

1993년 UR 협상이 타결 된 후 지난 1994년에 ‘농어촌 발전대책 ’에 의해 화훼산업의 경쟁력 제고대책이 수립됐다. 농특세를 재원으로 화훼 산업에 대한 국가의 투자와 지원이 강화됐으나 정부의 화훼 육성정책은 품목별 국제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생산부문 투자에 치중했고, 유통, 소비 등 전체 산업차원의 정책추진이 부족한 상황이라고 관계자들은 입을 모은다.
 
◆ 화훼산업 육성을 위해선

화훼업계는 경쟁력을 갖춘 고도화된 산업으로 정착되고 화훼 재배 농가가 안정적인 경영활동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생산부문과 유통, 소비부문이 균형적으로 발전해 나가야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생산측면에서는 경영의 전문화, 시설의 현대화 등 자본, 기술 집약적인 산업으로의 성장 잠재력을 지니고 있으나, 생산이후 단계인 유통, 소비분야의 발달정도는 아직 미흡하다는 게 관계자들의 중론이다.

박재근 농협경기지역본부 본부장은 "일본과 중국에 치중돼 있는 수출국의 다변화 시도와 생산시설 자동화를 통한 생산비 절감과 판매 유통망의 다양화가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별취재팀=장익창.최영수 기자>

 

저작권자 © 이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