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7년 전원구성비 원자력 22.8%, 석탄 28.5%, LNG 19.8%, 신재생 20.3% 전망

[이투뉴스] 오는 2027년까지 10GW 규모 석탄화력발전소와 5GW규모 LNG복합화력발전소가 추가 건설된다.

이에 따라 지난해말 현재 5.5%인 발전설비 예비율은 2015년 21.2% 수준으로 대폭 높아져 전력수급난이 해소될 전망이다. 

지식경제부는 이런 내용을 뼈대로 하는 제6차 전력수급기본계획안을 31일 공청회에서 공개한다.

계획안에 의하면 국내 전력소비량은 2027년 기준 7710억kWh로 향후 15년간 연평균 3.4%씩 증가할 전망이다. 5차 수급계획에서 추정한 2024년 소비량(6535억kWh)도 7133억kWh로 재산정됐다. 

또 최대전력은 2027년 기준 1억2674만kWh로 올해부터 15년간 연평균 3.4% 증가가 예상된다.

이를 기준으로 정부는 2027년 예비율 목표를 22%로 설정하고, 발전소 건설이 지연되는 불확실성을 고려해 이번 수급계획에 390만kW를 대응물량으로 반영했다.

6차 수급계획에 포함된 확정설비는 이미 윤곽이 드러난 대로 1580만kW 규모로 책정됐다.

석탄화력은 남동발전 영흥 7,8호기 1740MW, 중부발전 신서천 1,2호기 1000MW, SK건설 NSP IPP 2000MW, 삼성물산 G프로젝트 1,2호기 2000MW, 동양파워 1,2호기 2000MW 등 8740MW다.

이중 영흥 8호기와 불확실 대응설비로 분류된 동부하슬라 1,2호기 2000MW는 발전사업 허가전 계통보강계획 승인을 받는 조건으로 계획에 포함됐다.

LNG복합화력은 6기 5060MW로 물량이 확정됐다.

GS EPS 당진복합 5호기 950MW, 남부발전 영남복합 400MW, 대우건설 대우포천 1호기 940MW, SK E&S 여주복합 950MW, 서부발전 신평택 900MW, 현대산업개발 통영복합 1호기 920MW 등이다.

전체 설비 중 민간기업 몫은 8개사 12기 1만1176MW로, 발전자회사 프로젝트 4개사 6기 4040MW 대비 2.76배에 달한다.

차기 정부가 2차 에너지기본계획을 확정할 때까지 원자력 신규 물량은 확정하지 않는다는 정부 방침에 따라 원자력 건설계획은 이번 계획에 포함되지 않았다.

정부는 2차 기본계획 때 원전 방향을 결정해 6차 수급계획을 보완하되, 이때 원전 대신 화력설비 투입이 필요하면 이번 건설의향 평가에 포함되지 못한 차순위 설비를 넣는다는 방침이다.

신재생에너지 설비비중은 1차 국가기본계획에서 제시된 2027년 기준 7%에서 3배 가량 늘어난 20.3%로 대폭 상향 조정됐다. 발전량 기준으로는 종전 7%에서 12%로 5%P가 높아졌다.

이 목표를 달성하려면 신재생 설비량은 2015년 9280MW, 2025년 2만9180MW, 2027년 3만2020MW 등으로 대량 확충이 불가피하다.

집단에너지설비는 지경부로부터 사업허가를 취득한 건설계획을 조사해 3710MW를 우선 반영했다.

단 신재생설비와 집단에너지의 경우 사업성에 따라 민간사업자의 진입용량이 달라져 목표대로 설비가 확충될지는 불투명하다.

이같은 설비확충 계획을 토대로 추산한 2027년의 전원구성비(설비량기준)는 원자력 22.8%, 석탄화력 28.5%, LNG복합 19.8%, 신재생 20.3%, 집단에너지 4.7% 등이다.

이번 수급계획은 내달 7일 전력정책심의회을 거쳐 내달 중 공고된다.

이상복 기자 lsb@e2news.com

<ⓒ이투뉴스 - 글로벌 녹색성장 미디어, 빠르고 알찬 에너지·경제·자원·환경 뉴스>

<ⓒ모바일 이투뉴스 - 실시간·인기·포토뉴스 제공 m.e2news.com>

저작권자 © 이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