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S 등 일부 기업 부실 심화…파산 점차 현실화
업계 “열·전기 후속공급방안 등 법제화 필요”

[이투뉴스] CES(구역전기사업)를 포함한 집단에너지업체 중 적잖은 수가 경영난으로 인한 부실이 심화되는 등 퇴출위기가 눈앞으로 다가오고 있다는 지적이다. 따라서 부실 집단에너지사업자의 부도나 도산 시 에너지공급중단 사태를 막을 수 있는 후속체계를 마련해야 한다는 의견이 대두되고 있다.

국내 집단에너지업계에 따르면 부동산 경기 침체로 공급권역 포화수요가 턱없이 늦춰지는데다, 원가보다 낮은 열 및 전기요금이 장기화되면서 극히 일부를 제외한 대부분 기업들의 경영난이 가중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CES를 중심으로 상당수 사업자들은 모기업 지원과 금융권 대출로 목숨을 연명하고 있는 등 악화일로로 치닫고 있다. 이로 인해 이자 비용만 매년 수십억원에 달하면서 경영난이 가속화되는 또 하나의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을 정도다.

실제 국내 CES업체를 살펴보면 수완에너지(597억원)와 부산정관에너지(591억원) 두 곳의 최근 3년 동안 누적적자 규모가 무려 600억원에 육박한다. 이밖에 경기CES(267억원), LH공사(241억원), 삼천리(213억원) 역시 200억원 대의 누적적자를 기록하는 등 단 1곳도 흑자를 내지 못하고 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경기CES는 이미 기업회생절차(옛 법정관리)에 들어가 있는 상황이고, 2곳 정도가 올해 추가로 부도위기에 직면할 것이라는 얘기까지 공공연히 흘러나오고 있는 형편이다.

열만 공급하고 전기는 거래소에 파는 순수 집단에너지사업자 역시 한국지역난방공사와 GS파워, 안산도시개발을 제외하고는 모두 2011년에 이어 지난해에도 적자를 본 것으로 확인됐다. 규모는 비록 CES업체에 비해 적지만, 적자누적으로 인해 상당한 압박을 받고 있다.

정부도 이같은 상황을 인식해 수완에너지의 전기공급 포기를 수용하는 등 대책마련에 나서고 있지만, LNG요금 인하를 비롯해 전력거래소 매전(買電) 전면 허용, CP(용량요금) 지급 등 근본적인 경영개선 대책은 내놓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전문가들은 국내 집단에너지사업자의 갑작스런 도산이나 부도가 눈 앞에 닥친 만큼, 열과 전기 등 중단 없는 에너지공급을 위한 대책이 시급하다고 강조한다. 즉 공제조합 내지 기금조성 등의 방안을 마련, 특정사업자 파산 시 즉시 이어받아 사업을 전개함으로써 해당지역 주민들의 공급중단 사태를 막아야 한다는 것이다.

아울러 사업자 역시 부채해소 및 안정적 운영이 가능하도록 경영개선 방안을 모색하는 한편 사업성이 전무한 기업의 경우 M&A를 통해 매각방법을 찾는 등 적극적인 구조조정에 나서야 한다는 분석도 설득력을 얻고 있다.

집단에너지업계 관계자는 이와 관련 “근본적으로 경영여건을 변화시키는 정책이 도입되지 않을 경우 지역난방사업자 파산은 먼 나라 얘기가 아니라 언제든 우리 앞에 닥칠 수 있는 게 엄연한 현실”이라고 시급성을 설명했다.

아울러 “특정 업체가 도산할 경우 열은 한난에, 전기는 한전이 맡기면 되겠지 라는 막연한 생각은 큰 오산”이라면서 “후속 공급체계와 도산업체 처리방안 등을 위한 법제화에 정부가 하루빨리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채덕종 기자 yesman@e2news.com 

<ⓒ이투뉴스 - 글로벌 녹색성장 미디어, 빠르고 알찬 에너지·경제·자원·환경 뉴스>

<ⓒ모바일 이투뉴스 - 실시간·인기·포토뉴스 제공 m.e2news.com>

저작권자 © 이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